사진분석법을 활용한 경북 일부지역 대학생의 식생활 실태 분석

Purpose: Concerns about accelerated aging are regularly being discussed. This study analyzed the dietary status and nutritional intake of college students who are about to enter their 30s and 40s. We further suggest ways to eat healthily. Methods: Totally, 67 students attending Daegu Catholic Univer...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 56; no. 4; pp. 439 - 453
Main Authors 이채홍(Chae Hong Lee), 이경아(Kyung A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영양학회 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8-3886
2288-3959
DOI10.4163/jnh.2023.56.4.43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Purpose: Concerns about accelerated aging are regularly being discussed. This study analyzed the dietary status and nutritional intake of college students who are about to enter their 30s and 40s. We further suggest ways to eat healthily. Methods: Totally, 67 students attending Daegu Catholic University were provided with a three-day meal record and analyzed. Results: The average demographics of the subjects were as follows: age 23.2 ± 2.0 years, height 165.1 ± 9.0 cm, weight 65.4 ± 13.6 kg, and BMI 23.5 ± 3.9 kg/m2. Overall, 76.3% of the subjects skipped breakfast. The food intak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food group intake pattern and the recommended number of servings determined that 38.3% of the subjects did not consume fruits and dairy products (GMVFDS = 111001), and both men and women lacked all food groups. Analysis of the nutrient intake state revealed lesser nutrient intake than the estimated energy need. Evaluation of the %RDA found that consumption of phosphorus was above the recommended amount, whereas all other nutrients were below the recommended amount. Men had a higher intake rate of phosphorus (p < 0.01), iron (p < 0.001), and sodium (p < 0.05) than women, whereas the intake rate of dietary fiber was higher in women (p < 0.05). Evaluation of the food intake by 22 food categories revealed that intake of regular grains was more in men than in women (p < 0.05) whereas women consumed significantly more mixed grains (p< 0.01). In protein foods, men consumed more meat (p < 0.01), while women consumed more eggs (p < 0.05) and beans (p < 0.05). Evaluating the fruit intake, juices were more frequently consumed by men than by women (p < 0.05). No differences were obtained in food intake and nutrient intake status according to obesity.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re is an urgent requirement for attention and support for university cafeterias in order to induce changes in the eating habits of college students. Among other initiatives, this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diet improvement programs and menus that consider food preferences. 지금의 3040세대를 비롯한 젊은 층이 부모보다 노화가 빨리 진행되는 가속노화 우려가 지적된 시점에서 3040세대 진입을 앞둔 대학생 시기부터 올바른 생활태도 및 건강습관 배양과 건강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이 요구된다. 이에 대학생들의 식생활 실태를 분석하여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방안 마련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대구가톨릭대학교 재학생 67명을 대상으로 사진활용 3일 식사기록을 통한 식사조사를 활용하여 식생활실태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는 남자 37.3%, 여자62.7%로 평균 연령은 23.25 ± 2.05세, 평균 신장은 165.17 ± 9.04 cm, 평균 체중은 65.45 ± 13.69 kg, 평균 체질량지수는 23.85 ± 3.92 kg/m2이었다. 조사대상자 전체의 73.6%가 아침을 결식한다고 나타났으며, 학교식당보다는 주로 배달이나 외부 음식점, 편의점을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품군 섭취패턴과 권장섭취 횟수에 따른 식품섭취 평가 결과, 과일군과 유제품군을 섭취하지 않은 대상자 (grain, meat, vegetable, fruit, dairy and sweet [GMVFDS] = 111001)가 38.3%로 가장 많았으며, 대상자 모두 모든 식품군의 섭취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채소류와 과일류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섭취비율이 높아 유의한 (p < 0.05) 차이를 나타냈다. 영양소 섭취 상태를 분석한 결과, 에너지 필요 추정량에 비해 적게 섭취하고 있었다. 중복분석 (%redundancy analysis, %RDA)으로 분석한 결과, 인은 권장량 이상 섭취, 그 외 모든 영양소는 권장량 이하로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가 여자보다 인 (p < 0.01), 철 (p < 0.001), 나트륨 (p < 0.05)의 섭취비율이 높았고, 여자가 남자보다 식이섬유 (p < 0.05)의 섭취 비율이 높았다. 식품섭취횟수와 영양소섭취상태에서 비만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2가지 식품분류에 따른 식품섭취평가 결과에서도 비만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곡류에서는 남자가 일반곡류 (p < 0.05), 여자가 혼합곡류 (p < 0.01)의 섭취가 높았고, 단백질식품류에서는 남자는 고기류 (p < 0.01), 여자는 달걀류 (p < 0.05)와 콩류 (p < 0.05)의 섭취가 높았다. 과일류에서는 남자가 주스류의 섭취비율이 높아 유의한 (p < 0.05)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에서 대학생들의 영양소 섭취상태가 불량하고 식품 기호도에 대한 차이가 뚜렷한 것을 확인함에 따라 식생활 개선 프로그램과 함께 식품 기호도를 고려한 메뉴 제공 등을 통해 대학생들의 식태도 변화를 유도하고 스스로 실천하도록 대학교 급식에 대한 관심과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325643248795
ISSN:2288-3886
2288-3959
DOI:10.4163/jnh.2023.56.4.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