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측중도절단된 와이블 분포를 이용한 소총 탄약 소요보급률 추정 연구

무기체계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탄약은 전투력 발휘에서 필수적이다. 원활한 탄약의 공급과 전투력 발휘를 위하여 군은 탄약의 기본휴대량을 개인별 임무와 화기에따라 정하여 활용중이다. 탄약의 기본휴대량 산출에 핵심이 되는 탄약의 소요보급률은 부대의 작전환경과 임무등을 고려한 실제 전투 자료에 기반하여 산출이 되어져야한다. 한국전쟁의 자료를 통해 얻어진 기존의 소요보급률은 현대의 전투 양상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어, 본 연구에서는 실전과 가장 유사한 훈련인 육군 과학화 훈련단(Korea Combat Training Center; K...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Ŭngyong tʻonggye yŏnʼgu Vol. 32; no. 1; pp. 129 - 138
Main Authors 박재신, Jaeshin Park, 방성완, Sungwan B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통계학회 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066X
2383-5818
DOI10.5351/KJAS.2019.32.1.12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무기체계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탄약은 전투력 발휘에서 필수적이다. 원활한 탄약의 공급과 전투력 발휘를 위하여 군은 탄약의 기본휴대량을 개인별 임무와 화기에따라 정하여 활용중이다. 탄약의 기본휴대량 산출에 핵심이 되는 탄약의 소요보급률은 부대의 작전환경과 임무등을 고려한 실제 전투 자료에 기반하여 산출이 되어져야한다. 한국전쟁의 자료를 통해 얻어진 기존의 소요보급률은 현대의 전투 양상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어, 본 연구에서는 실전과 가장 유사한 훈련인 육군 과학화 훈련단(Korea Combat Training Center; KCTC)의 소총 탄약 소모량 자료를 통하여 소총 탄약의 소요보급률을 추정하였다. KCTC 소총 소모량 자료가 중도 절단되었던 점을 고려하여 우측중도절단된 와이블 분포를 추정하고 상위백분위수로 탄약의 소요보급률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개인별 탄약 소모량을 반영하여 대부분의 전투원들이 추가 보급없이 전투를 수행할 수 있는 소요보급률을 추정할 수 있었다. Ammunition is an integral element of a weapon systems and in calculating fighting strength. The Korea Army utilizes the basic load (B/L) concept to supply ammunition smoothly. The required supply rate (RSR) is the basis of a B/L that is estimated from real combat data that includes a troop’s mission and operation terrain. The current RSR is based on Korean War data and the sample mean has some problems in applications to modern combat. Therefore, this study used Korea Combat Training Center (KCTC) data that is similar to real combat to estimate rifle ammunition RSR. We used a quantile of truncated Weibull distribution to estimate rifle ammunition RSR considering that rifle ammunition consumption data in KCTC is truncated. As a result, we obtained a rifle ammunition RSR which covers most ammunition consumption by reflecting the individual consumption of rifle ammunition.
Bibliography: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KISTI1.1003/JNL.JAKO201912964890864
ISSN:1225-066X
2383-5818
DOI:10.5351/KJAS.2019.32.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