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라비올라(Annona muricata) 잎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과 성분 분석

본 연구에서는 그라비올라(Annona muricata) 잎으로부터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아글리콘 분획을 제조하였고 이들 추출물/분획에 대하여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1,1-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시험법을 이용한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 루미놀 발광법을 이용한 총 항산화능 및 1 O 2 소광 효과를 평가하였다.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아글리콘 분획의 라디칼 소거 활성(FSC 50 )은 각각 45.6, 29.8 및 18.0 μ g/mL이었고, 총...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大韓化粧品學會誌 Vol. 43; no. 4; pp. 309 - 320
Main Authors 박소현, So Hyun Park, 김지민, Ji Min Kim, 김진환, Jin Hwan Kim, 오윤수, Yoon Soo Oh, 주동휘, Dong Hee Joo, 이은영, Eun Young Lee, 신혁수, Hyuk Soo Shin, 김아랑, A Rang Kim, 이상래, Sang Lae Lee, 박수남, Soo Nam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화장품학회 31.12.2017
사단법인 대한화장품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587
2288-950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에서는 그라비올라(Annona muricata) 잎으로부터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아글리콘 분획을 제조하였고 이들 추출물/분획에 대하여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1,1-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시험법을 이용한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 루미놀 발광법을 이용한 총 항산화능 및 1 O 2 소광 효과를 평가하였다.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아글리콘 분획의 라디칼 소거 활성(FSC 50 )은 각각 45.6, 29.8 및 18.0 μ g/mL이었고, 총 항산화능(OSC 50 )은 4.4, 1.1 및 2.8 μ g/mL이었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총 항산화능은 수용성 항산화제로 잘 알려진 L-ascorbic acid (1.5 μ g/mL)보다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1 O 2 소광 상수 실험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및 아글리콘 분획은 비교물질로 사용된 L-ascorbic acid와 유사한 활성을 보여주었다. 1 O2 으 으로 유도된 적혈구 세포 손상에 있어서, 그라비올라 잎 50% 에탄올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5-50 μ g/mL)으로 세포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에 사용된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아글리콘 분획에 대하여 TLC 및 HPLC를 이용한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는 rutin (quercetin-3-O-rutinoside), kaempferol-3-O-neohesperidoside, nicotiflorin (kaempferol-3-O-rutinoside), p-coumaric acid을 확인하였다. 아글리콘 분획에서는 kaempferol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이 항산화 화장품 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e effects and component analysis of 50% ethanol extract, ethyl acetate fraction and aglycone fraction obtained from Annona muricata leaf were investigate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performed by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ssay, total antioxidant capacities were estimated using luminol-dependent chemiluminescence assay and 1 O 2 quenching effects were estimate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FSC 50 ) of 50% ethanol extract, ethyl acetate fraction and aglycone fraction were 45.6, 29.8 and 18.0 μg/mL, and total antioxidant capacities (OSC 50 ) were 4.4, 1.1 and 2.8 μg/mL, respectively. As a result of 1 O 2 quenching experiment, ethyl acetate and aglycone fraction showed similar activities to L-ascorbic acid used as a comparative control. The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50% ethanol extract on the 1 O 2 -induced cellular damage of human erythrocytes were exhibited at concentration-dependent (5-50 μg/mL). TLC and HPLC were used to analyse components in the ethyl acetate fraction and aglycone fraction of Annona muricata leaf. In ethyl acetate fraction, rutin (quercetin-3-O-rutinoside), kaempferol- 3-O-neohesperidoside, nicotiflorin (kaempferol-3-O-rutinoside), p-coumaric acid were identified. In aglycone fraction, kaempferol was identifi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tracts of Annona muricata leaf have the applicability as antioxidant cosmeceutical ingredients.
Bibliography: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KISTI1.1003/JNL.JAKO201708733756011
ISSN:1226-2587
2288-9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