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균성 안질환에서 시프로플록사신에 대한 내성의 변화

목적 : 세균결막염과 각막염 환자에서 동정된 균주의 시프로플록사신에 대한 감수성과 내성의 변화를 알기 위해 시행하였다. 대상과 방법 : 1992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각막과 결막에서 직접 도말 및 배양검사를 시행하여 후향적으로 고찰하였다. 결과 : 균이 분리된 경우는 420례로 세균이 405례, 진균이 15례였으며 세균의 종류는 39균주였다. 배양된 세균은 405례 중그람 양성균이 324개, 그람 음성균이 81개로 나타났다. 많이 분리된 균주는 응고효소 음성 포도구균(coagulase-negative staphylococ...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42; no. 4; pp. 576 - 582
Main Authors 김도균, Do Gyun Kim, 진경현, Kyung Hyun J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01.04.200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2092-937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 세균결막염과 각막염 환자에서 동정된 균주의 시프로플록사신에 대한 감수성과 내성의 변화를 알기 위해 시행하였다. 대상과 방법 : 1992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각막과 결막에서 직접 도말 및 배양검사를 시행하여 후향적으로 고찰하였다. 결과 : 균이 분리된 경우는 420례로 세균이 405례, 진균이 15례였으며 세균의 종류는 39균주였다. 배양된 세균은 405례 중그람 양성균이 324개, 그람 음성균이 81개로 나타났다. 많이 분리된 균주는 응고효소 음성 포도구균(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us), 황색포도구균(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순이었다. 67례에서 시프로플록사신에 대한 감수성 검사가 되어 이 중 균이 감수성을 보인 경우가 57례, 내성을 보인 경우가 10례이었다. 시프로플록사신에 대한 내성은 1994년에 2례, 1998년에 7례, 1999년에 1례였다. 결론 : 시프로플록사신은 최근에 내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경한 안질환에서 시프로플록사신을 일차적으로 사용하거나 감염 예방 목적으로 사용시에 생길 수 있는 내성에 대하여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한안지 42(4):576-582, 2001> Purpose : To evaluate the change of the sensitivity and resistance to ciprofloxacin of isolates in bacterial ocular disease, bacterial keratitis and conjunctivitis. Methods : From January 1992 to December 1999 in KyungHee Medical Center, we carried out direct smear and culture from conjunctiva and cornea and studied retrospectively. Results : A total of 420 bacteria and fungi were isolated and 39 strains were identified. Antibiotic sensitivity test was done in isolated bateria and fungi. Gram-positive bacteria accounted for 324 of all bacteria, gram-negative organisms for 81 in isolated causative organisms. Major causative organisms of bacterial ocular disease, bacterial keratitis and conjunctivitis are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us,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in that order. Among 420 isolates, 405 bacteria and 15 fungi was isolated. In vitro examination for susceptibility and resistance of causative organisms to ciprofloxacin was done in 67 of 420 isolates. Of the 67 isolates, 57 were sensitive to ciprofloxacin and 10 were resistant to ciprofloxacin. All resistant cases to ciprofloxacin was 2 cases in 1994, 7 cases in 1998, and 1 case in 1999. Conclusions : The resistance to ciprofloxacin has a increasing tendency. Therefore, ciprofloxacin should be used carefully, when used for prevention of infection and primary treatment in mild ocular diseases. J Korean Ophthalmol Soc 42(4):576-582, 2001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01.42.4.009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