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봉합 frown 절개와 무봉합 선상절개의 수술 후 난시변화 비교

목적 : 절개폭 4.0mm 크기의 무봉합 frown 절개를 한 백내장 수술 후에 나타나는 난시변화를 무봉합 3.2 mm 선상절개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본원 안과에서 한 명의 술자에 의해 백내장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3개월 간 관찰이 가능했던 60안 중에서 절개폭 4.0 mm frown 절개를 시행하고 봉합을 하지 않은 30안을 1군으로 하였고, 3.2 mm 선상절개를 시행하고 봉합을 하지 않은 30안을 2군으로 하였다. 1군은 각막윤부에서 1 mm 후방에 가장 볼록한 부위가 오도록 하여 절개폭 4.0 mm 크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42; no. 9; pp. 1270 - 1276
Main Authors 박동, Dong Park, 장한기, Han Ki Ch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01.09.200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2092-937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 절개폭 4.0mm 크기의 무봉합 frown 절개를 한 백내장 수술 후에 나타나는 난시변화를 무봉합 3.2 mm 선상절개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본원 안과에서 한 명의 술자에 의해 백내장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3개월 간 관찰이 가능했던 60안 중에서 절개폭 4.0 mm frown 절개를 시행하고 봉합을 하지 않은 30안을 1군으로 하였고, 3.2 mm 선상절개를 시행하고 봉합을 하지 않은 30안을 2군으로 하였다. 1군은 각막윤부에서 1 mm 후방에 가장 볼록한 부위가 오도록 하여 절개폭 4.0 mm 크기를 가진 반원형의 frown 절개를 상측 공막에 시행하였고,2군은 각막윤부에서 2 mm 후방에 3.2 mm 크기의 선상절개를 상측 공막에 각각 시행하였다.난시변화는 술 전,술 후 1일, 1주, 2주, 1달, 2달, 3달째 각막곡률을 Bausch &Lomb 각막곡률계로 검사하여 Cravy 벡터분석법을 이용하였고, Student t-test로 유의성을 점검하였다. 결과 : 술 후 평균 난시변화량은 1군에서는 1일째에 0.52 D,1주째에 0.45 D,2주째에 0.43 D,1달째에 0.38 D,2달째에 0.40 D,3달째에 0.39 D로 나타났고, 2군에서는 1일째에 0.83 D,1주째에 0.72 D,2주째에 0.65 D,1달째에 0.52 D,2달째에 0.50 D,3달째에 0.49 D로 나타났다.양군간의 난시 변화량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P>0.05). 결론 : 절개폭 4.0mm를 가지는 frown 절개를 이용한 백내장 수술은 3.2 mm 소절개에 비교될 만한 적은 난시를 유발시키는 결과를 보여, 종전의 PMMA 인공수정체를 사용하면서도 안전하게 무봉합 처리를 할 수 있어, 소절개를 통한 접힘 인공수정체를 사용하는 수술보다 장점이 있다.〈한안지42(9):1270-1276, 2001〉 Purpose : This investigation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surgically induced astigmatism of no-stitch frown incision with 4.0 mm chord length, which was compared with no-stitch 3.2 mm straight incision. Methods : Sixty eyes, which could be observed for 3 month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oth groups were composed of 30 eyes. Group 1 - a semicircular frown incision with 4.0 mm chord length was made 1mm posterior and most convex to limbus. Group 2 - a 3.2 mm straight incision was made 2 mm posterior to limbus. No-stitch was done in both groups. The corneal astigmatism was evaluated at postoperative 1st day, 1st week, 2nd week, 1st month, 2nd month and 3rd month with Bausch & Lomb keratometry, calculated by values derived from Cravy`s vector method and statistically analyzed by Student t-test. Results : The change of surgically induced astigmatism in group 1 was 0.52 D, 0.45 D, 0.43 D, 0.38 D,0.40 D, and 0.39 D at 1st day, 1st week, 2nd week, 1st month, 2nd month, and 3rd month, respectively. In group 2, it was 0.83 D, 0.72 D, 0.65 D, 0.52 D, 0.50 D, and 0.49 D at the same intervals. These differences of astigmatic chang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Conclusion : The astigmatic change in a no-stitch frown incision with 4.0 mm chord length was not enough to comparable with that of a no-stitch 3.2 mm straight incision. We could safely use PMMA intraocular lens by no-stitch frown incision. So, this method has some advantages over small incision withfoldable intraocular lens. J Korean Ophthalmol Soc 42(9):1270-1276, 2001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01.42.9.007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