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완증후군
목적 : 백내장 낭외적출술 후 발생한 전방각 신생혈관에서 출혈이 재발하는 스완증후군 1예를 경험하고 치료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 66세 남자 환자가 우안 백내장 낭외적출술 2달 후부터 반복되는 시력저하와 충혈을 호소하였다. 세극등검사상 전방출혈이 약 1 mm높이로 있었고, 안압은 33 mmHg로 증가되어 녹내장 클리닉으로 의뢰되었다. 전방각경검사를 통해 2시 방향에서 신생혈관을 발견하여 스완증후군으로 진단하였다. 결과 : 전방세척을 시행 하였으나 전방출혈이 재발하여 아르곤레이저로 신생혈관을 응고시켰으며 그 후로는...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46; no. 4; pp. 722 - 725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30.04.200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78-6471 2092-9374 |
Cover
Summary: | 목적 : 백내장 낭외적출술 후 발생한 전방각 신생혈관에서 출혈이 재발하는 스완증후군 1예를 경험하고 치료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 66세 남자 환자가 우안 백내장 낭외적출술 2달 후부터 반복되는 시력저하와 충혈을 호소하였다. 세극등검사상 전방출혈이 약 1 mm높이로 있었고, 안압은 33 mmHg로 증가되어 녹내장 클리닉으로 의뢰되었다. 전방각경검사를 통해 2시 방향에서 신생혈관을 발견하여 스완증후군으로 진단하였다.
결과 : 전방세척을 시행 하였으나 전방출혈이 재발하여 아르곤레이저로 신생혈관을 응고시켰으며 그 후로는 더 이상의 전방출혈이 일어나지 않았고 안압도 14 mmHg로 유지되었다.
결론 : 스완증후군이란 전방으로 절개를 가한 부위에 상공막혈관이 파고들어 신생혈관이 발생하는 증후군으로서 아르곤레이저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신생혈관을 제거하여 치료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Purpose: Swan syndrome, one of the chronic postoperative complications following cataract surgery produces recurrent hyphema from new vessels of the anterior chamber and thereby increases intraocular pressure (IOP). We report the first Korean case of “Swan syndrome”.
Methods: A 66-year-old male complained of loss of vision and red eye two months after unplanned extracapsular cataract extraction in the right eye. At our glaucoma clinic, hyphema of 1 mm in height was noticed through a slit lamp. IOP was 33 mmHg. A new vessel at the inlet of the previous scleral tunnel incision was noticed through gonioscopic examination. We diagnosed this case with Swan syndrome.
Results: To remove the hyphema, anterior chamber irrigation was performed. However, the hyphema recurred. Therefore argon laser photocoagulation was performed with permanent non-recurrence of the hyphema and IOP was maintained within the normal range.
Conclusions: Swan syndrome which produces recurrent hyphema with resultant blurred vision is associated with neovascularization originated from episcleral vessels. In this case, argon laser photocoagulation was effective in the eradication of the new vessel.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05.46.4.022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