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화 단층 촬영에서 한국인 안와내 구조의 정상치

컴퓨터 단층촬영은 여러가지 안질환, 특히 갑상선안질환, 안와위종양, 종양의 시신경침범, 안구돌출등의 진단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정상과 여러 안질환의 감별에 도움을 주기 위해 한국인 안와구조의 정상치를 조사하였다. 안와내 구조물의 정상치에 대한 본 조사에서 내직근이 3.3±0.6㎜, 외직근이 3.0±0.6㎜, 상직근군이 3.6±0.6㎜, 하직근이 3.5±0.6㎜로 측정되었고 시신경-시신경초 두께는 4.4±0.5㎜, 협골사이 간격은 102.7±5.0㎜, 협골사이를 연결한 선에서 안구후부까지의 거리는 11.2±1.2㎜로 측정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42; no. 1; pp. 1 - 6
Main Authors 임대원, Dae Won Lim, 이종수, Jong Soo Lee, 김학진, Hak Jin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01.01.200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2092-937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컴퓨터 단층촬영은 여러가지 안질환, 특히 갑상선안질환, 안와위종양, 종양의 시신경침범, 안구돌출등의 진단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정상과 여러 안질환의 감별에 도움을 주기 위해 한국인 안와구조의 정상치를 조사하였다. 안와내 구조물의 정상치에 대한 본 조사에서 내직근이 3.3±0.6㎜, 외직근이 3.0±0.6㎜, 상직근군이 3.6±0.6㎜, 하직근이 3.5±0.6㎜로 측정되었고 시신경-시신경초 두께는 4.4±0.5㎜, 협골사이 간격은 102.7±5.0㎜, 협골사이를 연결한 선에서 안구후부까지의 거리는 11.2±1.2㎜로 측정되었다. 안와내 구조물의 남녀 비교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크게 측정되었으며, 협골사이의 거리는 남자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크게 측정되었다. 안와내 구조물의 연령별 비교에서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지만, 모든 안와내 구조물이 40 ~50대에서 가장 크게 측정되었고, 10대에서 가장 작게 측정되었으며, 10대와 20대에서 협골사이의 간격이 좁게 나타나 안와골격이 20대까지 성장함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연구는 한국인의 안와내 구조물의 남녀 및 연령별 정상치에 관한 자료를 제공함으로 인해 안와내 구조물을 침범하는 여러 가지 병적상태를 정상과 감별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한안지 42:1~6, 2001). We studied to establish criteria for the diameters of normal extraocular muscles, the width of the optic nerve, and the globe position by CT,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ge and sex on these structures among Korean populations. Diameters of extraocular muscles, distance from the interzygomatic line to the posterior margin of the globe, width of the optic nervesheath complex, and length of the interzygomatic line were calculated for 428 normal orbit on axial and direct coronal CT images. Normal range for the diameters of extraocular muscles were medial rectus: 2.2~5.4㎜, lateral rectus: 2.1~4.9㎜, inferior rectus: 2.5~5.7㎜, and superior complex group: 2.6~6.4㎜.The mean optic nerve-sheath complex was 4.1mm ranged from 2.9㎜ to 5.3mm, and the mean length of interzygomatic line was 103.8 mm. The normal position of the globe was 11.2㎜ behind the interzygomatic line(range,6.4~15.3㎜). The mean diameters of extraocular muscles, sum of all muscle, optic nerve-sheath complex, globe position, and the mean length of interzygomatic line were larger in males than femal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patients except interzygomatic line, and there was also no difference among the various age groups(P>0.05). Our results may help to assess enlargement of the extraocular muscles and the optic nerve as well as determining whether exophthalmos is present in a practical quantitative method(J Korean Ophthalmol Soc 42:1~6, 2001).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01.42.1.008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