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행동이 참여자에게 미치는 영향과 고등학교에서 기후 행동 교육이 어려운 이유

이 연구의 목적은 기후 행동이 참여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 고등학교에서 기후 행동 교육이 어 려운 이유는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 해 기본적 질적 연구(basic qualitative research) 방법을 택하였으며 연구참여자는 활동 당시의 중학생 5명이 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학생 때의 기후 행동 으로 참여자의 진로는 구체적으로 변하였고 기후 소양 은 함양되었다. 그리고 고등학교에서 기후 행동 교육 은 충분하지 않았다. 기후 행동 교육을 하는 환경 과목 은 많은 학생의 선택을 받지 못하여 개설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 17; no. 1; pp. 70 - 85
Main Author 박기락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30.04.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05-5668
2289-038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의 목적은 기후 행동이 참여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 고등학교에서 기후 행동 교육이 어 려운 이유는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 해 기본적 질적 연구(basic qualitative research) 방법을 택하였으며 연구참여자는 활동 당시의 중학생 5명이 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학생 때의 기후 행동 으로 참여자의 진로는 구체적으로 변하였고 기후 소양 은 함양되었다. 그리고 고등학교에서 기후 행동 교육 은 충분하지 않았다. 기후 행동 교육을 하는 환경 과목 은 많은 학생의 선택을 받지 못하여 개설이 어려웠으 며 대학 입시에 대한 부담으로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 에 기후 행동 교육을 하는 것은 비현실적이었다. 이 연 구의 논의점은 다음과 같다. 기후 행동은 진로를 구체 화하고 기후 소양을 함양하는 데 일조하기 때문에 중 학생에게 장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후 행동은 지속 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기후 소양을 꾸준히 유지할 수 있도록 초 ․ 중 ․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에 기후 행동 교육 을 전문적으로 할 수 있는 과목을 개설할 필요가 있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415157746009
ISSN:2005-5668
2289-0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