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지하철역 주변 환경이 고령자의 통행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 COVID-19 기간을 중심으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유행은 우리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고령자의 경우 COVID-19에 취약하고 통행 제약이 크므로, 지하철의 교통카드 자료를 이용해 COVID-19가 역 별 고령자의 통행량에 미친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COVID-19 발생 전후 3개년 간의 고령자 하차통행량과 지하철역 주변 환경 관련 변수 사이에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 여 서로 비교하였다. 분석 기간 전체에서 지하철 환승 노선 수, 하천 유무, 전통시장 면적, 한방 병의원 수, 문화시설 수, 대형상업시설 수 등이 고령자의...
Saved in:
Published in | 韓國ITS學會 論文誌 Vol. 23; no. 4; pp. 1 - 15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ITS학회
31.08.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0774 2384-1729 |
DOI | 10.12815/kits.2024.23.4.1 |
Cover
Abstract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유행은 우리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고령자의 경우 COVID-19에 취약하고 통행 제약이 크므로, 지하철의 교통카드 자료를 이용해 COVID-19가 역 별 고령자의 통행량에 미친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COVID-19 발생 전후 3개년 간의 고령자 하차통행량과 지하철역 주변 환경 관련 변수 사이에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 여 서로 비교하였다. 분석 기간 전체에서 지하철 환승 노선 수, 하천 유무, 전통시장 면적, 한방 병의원 수, 문화시설 수, 대형상업시설 수 등이 고령자의 통행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으며, COVID-19 이후 대중교통 관련 변수와 종사자 수, 실내 여가시설의 영향은 감소하고 야외 시설, 전통문화 관련 시설의 영향은 더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 는 서울시 고령자의 통행에 팬데믹으로 인해 분명한 변화가 있었음을 시사하며, 향후 고령자 에게 더 안전하고 접근성 있는 환경을 만들 근거가 될 것으로 보인다. |
---|---|
AbstractList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유행은 우리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고령자의 경우 COVID-19에 취약하고 통행 제약이 크므로, 지하철의 교통카드 자료를 이용해 COVID-19가 역 별 고령자의 통행량에 미친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COVID-19 발생 전후 3개년 간의 고령자 하차통행량과 지하철역 주변 환경 관련 변수 사이에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 여 서로 비교하였다. 분석 기간 전체에서 지하철 환승 노선 수, 하천 유무, 전통시장 면적, 한방 병의원 수, 문화시설 수, 대형상업시설 수 등이 고령자의 통행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으며, COVID-19 이후 대중교통 관련 변수와 종사자 수, 실내 여가시설의 영향은 감소하고 야외 시설, 전통문화 관련 시설의 영향은 더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 는 서울시 고령자의 통행에 팬데믹으로 인해 분명한 변화가 있었음을 시사하며, 향후 고령자 에게 더 안전하고 접근성 있는 환경을 만들 근거가 될 것으로 보인다. The COVID-19 pandemic significantly impacted societies, particularly the elderly with higher susceptibility and mobility constraints. This study investigates COVID-19's influence on elderly travel at subway stations using card data. Analyzing pre/post-COVID-19 data via multilinear regression, we found factors like subway transfer lines, presence of rivers, the area of traditional markets, number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clinics, number of cultural facilities, and number of large commercial facilities correlated positively with elderly travel. Post-COVID-19, effects of variables related to public transportation and employment, and indoor leisure facilities decreased, while the effects of outdoor and traditional culture-related facilities increased. These findings indicate significant pandemic-induced alterations in the mobility patterns of senior citizens in Seoul, highlighting shifts towards safer, more accessible environments.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유행은 우리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고령자의 경우 COVID-19에 취약하고 통행 제약이 크므로, 지하철의 교통카드 자료를 이용해 COVID-19가 역별 고령자의 통행량에 미친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COVID-19 발생 전후 3개년간의 고령자 하차통행량과 지하철역 주변 환경 관련 변수 사이에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여 서로 비교하였다. 분석 기간 전체에서 지하철 환승 노선 수, 하천 유무, 전통시장 면적, 한방병의원 수, 문화시설 수, 대형상업시설 수 등이 고령자의 통행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OVID-19 이후 대중교통 관련 변수와 종사자 수, 실내 여가시설의 영향은 감소하고 야외 시설, 전통문화 관련 시설의 영향은 더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서울시 고령자의 통행에 팬데믹으로 인해 분명한 변화가 있었음을 시사하며, 향후 고령자에게 더 안전하고 접근성 있는 환경을 만들 근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유행은 우리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고령자의 경우COVID-19에 취약하고 통행 제약이 크므로, 지하철의 교통카드 자료를 이용해 COVID-19가 역별 고령자의 통행량에 미친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COVID-19 발생 전후 3개년간의 고령자 하차통행량과 지하철역 주변 환경 관련 변수 사이에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여 서로 비교하였다. 분석 기간 전체에서 지하철 환승 노선 수, 하천 유무, 전통시장 면적, 한방병의원 수, 문화시설 수, 대형상업시설 수 등이 고령자의 통행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OVID-19 이후 대중교통 관련 변수와 종사자 수, 실내 여가시설의 영향은감소하고 야외 시설, 전통문화 관련 시설의 영향은 더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서울시 고령자의 통행에 팬데믹으로 인해 분명한 변화가 있었음을 시사하며, 향후 고령자에게 더 안전하고 접근성 있는 환경을 만들 근거가 될 것으로 보인다. The COVID-19 pandemic significantly impacted societies, particularly the elderly with higher susceptibility and mobility constraints. This study investigates COVID-19's influence on elderly travel at subway stations using card data. Analyzing pre/post-COVID-19 data via multilinear regression, we found factors like subway transfer lines, presence of rivers, the area of traditional markets, number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clinics, number of cultural facilities, and number of large commercial facilities correlated positively with elderly travel. Post-COVID-19, effects of variables related to public transportation and employment, and indoor leisure facilities decreased, while the effects of outdoor and traditional culture-related facilities increased. These findings indicate significant pandemic-induced alterations in the mobility patterns of senior citizens in Seoul, highlighting shifts towards safer, more accessible environments. KCI Citation Count: 0 |
Author | 추상호 이진비 서주희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이진비 – sequence: 2 fullname: 추상호 – sequence: 3 fullname: 서주희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13359$$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ot0EFrE0EYxvFBKhhrP4AXmYsXYdd5Z2Z3Z7yFaDVaCEjwOmx2Z2VJTGQ3F-mlwiK0vVTQdpVEIypeFEurkkL9Qtl3v4PReHouP57D_zJZG46GlpCrwFzgCryb_XScu5xx6XLhShcukAYXSjoQcL1GGhAI5bAgkJfIRp6nPSZ8HmjGeINsYzHBt3Pcn1D8slO_LvFkhkffKH48r053aP2mXJz8xukPujidVbMzfHeA05LWL37Wh7vV-108OqDV9zmeldXeK4rl8_rwM61-FVhM6S3a6jxq33ZA08X8eHFc4LSg-Okl7n_FyXn1YXKFXEzCQW43_u866W7e6bbuOVudu-1Wc8uxSikn9CG21kqP60SyEBQEOoz8KLY6TgKulJTgxVx6MuTg6ciTMQMv0ErxpBf5PbFObqxuh1li-lFqRmH6bx-PTD8zzYfdtgHmg1hWWuLrK9xP83FqhnE-MPebDzp_43LFpeCMgRBLd23lbJiN02hgzdMsfRJmz4z0hAYQfwAeuJpb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M1Z JDI ACYCR |
DEWEY | 388.3 |
DOI | 10.12815/kits.2024.23.4.1 |
DatabaseName | e-article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iscipline | Economics Journalism & Communications |
DocumentTitleAlternate |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Subway Stations on Elderly's Subway Use in Seoul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EISSN | 2384-1729 |
EndPage | 15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10613738 JAKO202428243200133 453911 |
GroupedDBID | M1Z .UV JDI ACYCR |
ID | FETCH-LOGICAL-e888-a61deee4529f40a18179ac6cde9df72884415d2454a2159c54d01579882fbc6b3 |
ISSN | 1738-0774 |
IngestDate | Sat Sep 07 03:20:25 EDT 2024 Sun Nov 03 02:16:55 EST 2024 Sun Sep 01 04:20:25 EDT 2024 |
IsDoiOpenAccess | true |
IsOpenAccess | true |
IsPeerReviewed | false |
IsScholarly | true |
Issue | 4 |
Keywords | COVID-19 지하철 고령자 Pandemic 팬데믹 Elderly Subway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e888-a61deee4529f40a18179ac6cde9df72884415d2454a2159c54d01579882fbc6b3 |
Notes | KISTI1.1003/JNL.JAKO202428243200133 http://journal.kits.or.kr/ |
OpenAccessLink |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428243200133&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
PageCount | 15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613738 kisti_ndsl_JAKO202428243200133 earticle_primary_453911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240831 |
PublicationDateYYYYMMDD | 2024-08-31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8 year: 2024 text: 20240831 day: 31 |
PublicationDecade | 2020 |
PublicationTitle | 韓國ITS學會 論文誌 |
PublicationTitleAlternate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
PublicationYear | 2024 |
Publisher | 한국ITS학회 |
Publisher_xml | – name: 한국ITS학회 |
SSID | ssib036279002 ssib053377138 ssib012146223 ssib023739049 ssib004698092 ssib008451679 ssib044738259 |
Score | 2.2825446 |
Snippet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유행은 우리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고령자의 경우 COVID-19에 취약하고 통행 제약이 크므로, 지하철의 교통카드 자료를 이용해 COVID-19가 역 별 고령자의 통행량에 미친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COVID-19 발생... The COVID-19 pandemic significantly impacted societies, particularly the elderly with higher susceptibility and mobility constraints. This study investigates...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유행은 우리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고령자의 경우COVID-19에 취약하고 통행 제약이 크므로, 지하철의 교통카드 자료를 이용해 COVID-19가 역별 고령자의 통행량에 미친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COVID-19 발생 전후... |
SourceID | nrf kisti earticle |
SourceType |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
StartPage | 1 |
SubjectTerms | 전자/정보통신공학 |
TableOfContents |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개요
2. 분석 범위 및 기간
Ⅱ. 선행연구 고찰
1. 관련연구 고찰
2. 본 연구의 차별성
Ⅲ. 자료 구축
1. 연구 방법론 설정
2. 사용 데이터
3. 기초통계분석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ACKNOWLEDGEMENTS
REFERENCES |
Title | 서울시 지하철역 주변 환경이 고령자의 통행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 COVID-19 기간을 중심으로 |
URI | https://www.earticle.net/Article/A453911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428243200133&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13359 |
Volume | 23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한국ITS학회 논문지, 2024, 23(4), 114, pp.1-15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b9MwFI_GOCAOCMbXGEyRwFymliR2Eptb3A9tQ7ADBe0WNW2KqkGH9nHZAQ2pQhq7DAm2gjoYAsQFxLQB2qTxD7Xu_8Czk3ZhTOLjkrrOLy9-fnH8e479rGlX3BBXTCsIUg42gxSB5pYKHNtNlW3sBlaR0aJa4X3zljN6h4xP2pN9R3YTs5bm54J0aeHQdSX_Y1XIA7vKVbL_YNmeUMiANNgXjmBhOP6VjVEugyhBLCMTzEOcqhwOOSMy5blyIkMui5iNmDrHLeQZCu0iLxuBMOIggCOOAT2i4EzBPQnnWQXPIk5GVBZWErg8cqbO5RAzYhCjSgB1ELeVJAdRJtEsrxLqxkzeBQTk4wLz6HYcUQ8xogoF_6kZC_BsBeeO1DXWOCtHMjITd8eyKZNF5aKIGyphxDgA0UiaB1eYcdV4UWVlYqU9E9JJho5yTBaWYZSzJYzyscJtmfayqriOysQgNw8lU6V0lJouylHkeYj2xp17Fde1BVF6MERJEgKKsUgx3FUadKFJSM_IsbGyUu5-1Mzxam2Eh3JtVpgcxbFId1i61_G40PEYbrRjUTpUecCmSAoIJkv2VtHq7LhVkkTXYyY4TLRC9rfe0aIqkshUdU4GqrdI2sJpkjb3qUB3-sMBhtCbtznu3ZiQF4KfTrCcjYfxEe2o5QJtlbNmH-USH8wZNRIf7KncEHr_g7Ap95NPMFMLu5glPvgCrXKZsR-ZjhCon4SnDk6K65pqn_pezcVzFqSS1w6qKKlm3EzBC5WuWRXIZG2mkiCThZPaidgL1L0Ie0rrm5oe0I51gwTMDmhDMaQ6-0C_qv-yimv2tLYg6k3xakcsN3XxcbHzoiG2NsTaZ12822tvL-qdl43W1g-x_lVvbW-0N3bF6xWx3tA7T751Vpfab5bE2ore_rIjdhvtp8910XjcWf2gt7_XRX39ut5tVHprZ7O1WRfrdV28fyaWP4nmXvtt84xWyOcKmdFUvIlKKqTwuiw6ZjkMQzm9okKMIvB5lxVLTqkcsnLFtSiV4ylli9ikCOSflWxSBgdBBjG0KkHJCfBZrb82XQvPazpwAfCtShh8ogpxA4cWy9ANwdu84hhgOzKonevWsf8wCpXjExsDmxrUhlWV-7Xy7H3_kIdoULsMtvCnSlVfhruXv_em_akZH5z6MV-OWskAbBf-JGZIOw7eTLdxXdT652bmw0vgNMwFw-rx_AnX3-iZ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84%9C%EC%9A%B8%EC%8B%9C+%EC%A7%80%ED%95%98%EC%B2%A0%EC%97%AD+%EC%A3%BC%EB%B3%80+%ED%99%98%EA%B2%BD%EC%9D%B4+%EA%B3%A0%EB%A0%B9%EC%9E%90%EC%9D%98+%ED%86%B5%ED%96%89%EB%9F%89%EC%97%90+%EB%AF%B8%EC%B9%98%EB%8A%94+%EC%98%81%ED%96%A5+%EB%B6%84%EC%84%9D%3A+COVID-19+%EA%B8%B0%EA%B0%84%EC%9D%84+%EC%A4%91%EC%8B%AC%EC%9C%BC%EB%A1%9C&rft.jtitle=%E9%9F%93%E5%9C%8BITS%E5%AD%B8%E6%9C%83+%EF%A5%81%E6%96%87%E8%AA%8C&rft.au=%EC%9D%B4%EC%A7%84%EB%B9%84&rft.au=%EC%B6%94%EC%83%81%ED%98%B8&rft.au=%EC%84%9C%EC%A3%BC%ED%9D%AC&rft.au=Jin+Bee+Lee&rft.date=2024-08-31&rft.issn=1738-0774&rft.eissn=2384-1729&rft.volume=23&rft.issue=4&rft.spage=1&rft.epage=15&rft_id=info:doi/10.12815%2Fkits.2024.23.4.1&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JAKO202428243200133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738-0774&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738-0774&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738-0774&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