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지하철역 주변 환경이 고령자의 통행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 COVID-19 기간을 중심으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유행은 우리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고령자의 경우 COVID-19에 취약하고 통행 제약이 크므로, 지하철의 교통카드 자료를 이용해 COVID-19가 역 별 고령자의 통행량에 미친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COVID-19 발생 전후 3개년 간의 고령자 하차통행량과 지하철역 주변 환경 관련 변수 사이에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 여 서로 비교하였다. 분석 기간 전체에서 지하철 환승 노선 수, 하천 유무, 전통시장 면적, 한방 병의원 수, 문화시설 수, 대형상업시설 수 등이 고령자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韓國ITS學會 論文誌 Vol. 23; no. 4; pp. 1 - 15
Main Authors 이진비, 추상호, 서주희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ITS학회 31.08.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0774
2384-1729
DOI10.12815/kits.2024.23.4.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유행은 우리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고령자의 경우 COVID-19에 취약하고 통행 제약이 크므로, 지하철의 교통카드 자료를 이용해 COVID-19가 역 별 고령자의 통행량에 미친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COVID-19 발생 전후 3개년 간의 고령자 하차통행량과 지하철역 주변 환경 관련 변수 사이에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 여 서로 비교하였다. 분석 기간 전체에서 지하철 환승 노선 수, 하천 유무, 전통시장 면적, 한방 병의원 수, 문화시설 수, 대형상업시설 수 등이 고령자의 통행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으며, COVID-19 이후 대중교통 관련 변수와 종사자 수, 실내 여가시설의 영향은 감소하고 야외 시설, 전통문화 관련 시설의 영향은 더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 는 서울시 고령자의 통행에 팬데믹으로 인해 분명한 변화가 있었음을 시사하며, 향후 고령자 에게 더 안전하고 접근성 있는 환경을 만들 근거가 될 것으로 보인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428243200133
http://journal.kits.or.kr/
ISSN:1738-0774
2384-1729
DOI:10.12815/kits.2024.2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