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기면담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대학생활스트레스 및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본 연구는 동기면담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대학생활스트레스 및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 지역에 소재한 일 대학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학생으로 동기면담 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없는 학생으로 하였다. 자료는 동기면담프로그램 전·후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2022년 10월 21일부터 11월 25일까지 수집하 였으며, 단일군 전후설계 연구이다. 자료분석은 SPSS/WIN version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Shapiro-Wilk test...
Saved in:
| Published in |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11; no. 2; pp. 333 - 341 |
|---|---|
| Main Author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01.03.2025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2384-0358 2384-0366 |
Cover
| Abstract | 본 연구는 동기면담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대학생활스트레스 및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 지역에 소재한 일 대학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학생으로 동기면담 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없는 학생으로 하였다. 자료는 동기면담프로그램 전·후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2022년 10월 21일부터 11월 25일까지 수집하 였으며, 단일군 전후설계 연구이다. 자료분석은 SPSS/WIN version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Shapiro-Wilk test,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폰 중독은 교육 전 평균 3.97±0.32점에서 교육 후 평균 3.13±0.36점이었 고, 대학생활스트레스는 교육 전 평균 3.82±0.36점에서 교육 후 평균 2.95±0.39점이었으며, 대학생활적응은 교육 전 평균 3.14±0.45점 에서 교육 후 평균 4.16±0.71점이었다. 동기면담프로그램 실시 전·후 스마트폰 중독(t=4.04, p=.011), 대학생활스트레스(t=12.73, p<.000), 대학생활적응(t=11.46, p<.000)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스마트폰이나 다양한 정보통신 관련 기기의 활용이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간호대학생들의 대학생활스트레스를 줄이면서 대학생활적응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 양한 전략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
| AbstractList | 본 연구는 동기면담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대학생활스트레스 및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 지역에 소재한 일 대학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학생으로 동기면담 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없는 학생으로 하였다. 자료는 동기면담프로그램 전·후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2022년 10월 21일부터 11월 25일까지 수집하 였으며, 단일군 전후설계 연구이다. 자료분석은 SPSS/WIN version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Shapiro-Wilk test,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폰 중독은 교육 전 평균 3.97±0.32점에서 교육 후 평균 3.13±0.36점이었 고, 대학생활스트레스는 교육 전 평균 3.82±0.36점에서 교육 후 평균 2.95±0.39점이었으며, 대학생활적응은 교육 전 평균 3.14±0.45점 에서 교육 후 평균 4.16±0.71점이었다. 동기면담프로그램 실시 전·후 스마트폰 중독(t=4.04, p=.011), 대학생활스트레스(t=12.73, p<.000), 대학생활적응(t=11.46, p<.000)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스마트폰이나 다양한 정보통신 관련 기기의 활용이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간호대학생들의 대학생활스트레스를 줄이면서 대학생활적응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 양한 전략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motivational interviewing program on smartphone addiction, college life stres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among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nursing students from a university in a specific region who had not previously participated in a motivational interviewing progra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1 to November 25, 2022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the synchronous interview program, and is a single-group before-and-after design stud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WIN version 27.0 program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Shapiro-Wilk test, and Paired t-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smartphone addiction was 3.97±0.32 points before education and 3.13±0.36 points after education, college life stress averaged 3.82±0.36 points before education and 2.95±0.39 points after education, and college life adjustment averaged 3.14±0.45 points before education and 4.16±0.71 points after educa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martphone addiction (t=4.04, p= .011), college life stress (t=12.73, p<.000), and college life adjustment(t=11.46, p<.000) before and after the motivational interviewing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a situation where the use of smartphones and variou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related devices is increasing, it is necessary to explore various strategies that can reduce the stress of college life among nursing students and improve their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본 연구는 동기면담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대학생활스트레스 및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 지역에 소재한 일 대학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학생으로 동기면담 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없는 학생으로 하였다. 자료는 동기면담프로그램 전·후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2022년 10월 21일부터 11월 25일까지 수집하였으며, 단일군 전후설계 연구이다. 자료분석은 SPSS/WIN version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Shapiro-Wilk test,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폰 중독은 교육 전 평균 3.97±0.32점에서 교육 후 평균 3.13±0.36점이었고, 대학생활스트레스는 교육 전 평균 3.82±0.36점에서 교육 후 평균 2.95±0.39점이었으며, 대학생활적응은 교육 전 평균 3.14±0.45점에서 교육 후 평균 4.16±0.71점이었다. 동기면담프로그램 실시 전·후 스마트폰 중독(t=4.04, p=.011), 대학생활스트레스(t=12.73, p<.000), 대학생활적응(t=11.46, p<.000)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스마트폰이나 다양한 정보통신관련 기기의 활용이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간호대학생들의 대학생활스트레스를 줄이면서 대학생활적응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전략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동기면담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대학생활스트레스 및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 지역에 소재한 일 대학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학생으로 동기면담 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없는 학생으로 하였다. 자료는 동기면담프로그램 전·후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2022년 10월 21일부터 11월 25일까지 수집하였으며, 단일군 전후설계 연구이다. 자료분석은 SPSS/WIN version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Shapiro-Wilk test,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폰 중독은 교육 전 평균 3.97±0.32점에서 교육 후 평균 3.13±0.36점이었고, 대학생활스트레스는 교육 전 평균 3.82±0.36점에서 교육 후 평균 2.95±0.39점이었으며, 대학생활적은 교육 전 평균 3.14±0.45점에서 교육 후 평균 4.16±0.71점이었다. 동기면담프로그램 실시 전·후 스마트폰 중독(t=4.04, p=.011), 대학생활스트레스(t=12.73, p<.000), 대학생활적응(t=11.46, p<.000)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스마트폰이나 다양한 정보통신 관련 기기의 활용이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간호대학생들의 대학생활스트레스를 줄이면서 대학생활적응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전략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motivational interviewing program on smartphone addiction, college life stres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among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nursing students at one universities located in one region and who had not participated in peer interview training.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1 to November 25, 2022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the synchronous interview program, and is a single-group before-and-after design stud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WIN version 27.0 program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Shapiro-Wilk test, and Paired t-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Smartphone addiction was 3.97±0.32 points before education and 3.13±0.36 points after education, college life stress averaged 3.82±0.36 points before education and 2.95±0.39 points after education, and college life averaged 3.14±0.45 points before education and 4.16±0.71 points after educa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martphone addiction (t=4.04, p= .011), college life stress (t=12.73, p<.000),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t=11.46, p<.000) before and after the motivational interviewing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a situation where the use of smartphones and variou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related devices is increasing, it is necessary to explore various strategies that can reduce the stress of college life among nursing students and improve their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KCI Citation Count: 0 |
| Author | 신은선 |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신은선 |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87184$$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 BookMark | eNpVzE9LAkEABfAlDDLzK8ReukTC7Mzs7M5RpD-WIIT3YRx3Y9E0dr10KzISC0ww0tAwELJTQkIb9Imc3e_QkiF0eg_ej7euxKq1qrWixCEycQogQmLLrptrStLznCLA2MA61bS4ciPb_bk_lW8zeTsLuw35Mph_-vJ5Egxn6nzaCHu-vLsIH_rB1TAY9tSgNZavzbDlh-2pGow7sn29oy5F2B9EIFrlqBkVVU7b_8fRZTDsBI_3qnz3g6-ebHXV8Gky__jeUFZtXvGs5F8mlMLebiFzkMrl97OZdC5lmSZJ2RqlyDYg1hASnNq6SUSJasK2osIFFhBCKjDnpFgUAEDEURHotqZTjLlh2iihbC9uq67NysJhNe785kmNlV2WPi5kmQYIJQYgEd5a4LLj1R1WLXkVdpg-ykMAdQ0YOsDARBBEbnPhLO7WHVGx2JnrnHL3nGGiUxOiH1vMoro |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 DBID | M1Z JDI ACYCR |
| DEWEY | 306 |
| DatabaseName | e-articles [Open Acces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
| DatabaseTitleList |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 Discipline | Social Sciences (General) |
| DocumentTitleAlternate | The Effect of Motivational Interviewing Program on Smartphone Addiction, College Life Stres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of Nursing Students |
| EISSN | 2384-0366 |
| EndPage | 341 |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10696706 JAKO202510750408320 465982 |
| GroupedDBID | M1Z .UV JDI ACYCR |
| ID | FETCH-LOGICAL-e886-f1993f724133ca9f586cd91cfe86cac4c2229c4aa6bbc0023a3b05f15944a78f3 |
| ISSN | 2384-0358 |
| IngestDate | Sun Apr 06 03:12:28 EDT 2025 Wed Sep 03 02:49:55 EDT 2025 Tue Apr 22 16:20:43 EDT 2025 |
| IsOpenAccess | true |
| IsPeerReviewed | false |
| IsScholarly | false |
| Issue | 2 |
| Keywords | 동기면담 Motivational Interviewing Program 대학생활스트레스 스마트폰 중독 대학생활적응 Smartphone Addiction 간호대학생 College Life Adjustment Nursing Students College Life Stress |
| Language | Korean |
| LinkModel | OpenURL |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e886-f1993f724133ca9f586cd91cfe86cac4c2229c4aa6bbc0023a3b05f15944a78f3 |
| Notes | KISTI1.1003/JNL.JAKO202510750408320 |
| OpenAccessLink |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510750408320&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
| PageCount | 9 |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696706 kisti_ndsl_JAKO202510750408320 earticle_primary_465982 |
| PublicationCentury | 2000 |
| PublicationDate | 2025-03 |
| PublicationDateYYYYMMDD | 2025-03-01 |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3 year: 2025 text: 2025-03 |
| PublicationDecade | 2020 |
| PublicationTitle |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 PublicationTitleAlternate | 문화기술의 융합 |
| PublicationYear | 2025 |
| Publisher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
| Publisher_xml | – name: 국제문화기술진흥원 |
| SSID | ssib044745911 ssib053376951 ssib023738654 ssib022005506 ssib023402271 ssib022502398 |
| Score | 1.9139658 |
| Snippet | 본 연구는 동기면담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대학생활스트레스 및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 지역에...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motivational interviewing program on smartphone addiction, college life stres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본 연구는 동기면담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대학생활스트레스 및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 지역에... |
| SourceID | nrf kisti earticle |
| SourceType |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
| StartPage | 333 |
| SubjectTerms | 과학기술학 |
| TableOfContents |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가설
Ⅱ.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2.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3. 연구 도구
4. 연구 진행절차
6. 자료분석 방법
7. 연구의 윤리적 고려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동기면담프로그램 효과검증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
| Title | 동기면담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대학생활스트레스 및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
| URI | https://www.earticle.net/Article/A465982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510750408320&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87184 |
| Volume | 11 |
| hasFullText | 1 |
| inHoldings | 1 |
| isFullTextHit | |
| isPrint | |
| ispartofPNX | 문화기술의 융합, 2025, 11(2), , pp.333-341 |
| journalDatabaseRights |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384-0366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45911 issn: 2384-0358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5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da9RAcGn75Iv47flRArqgnFeSyybZfcxd76iV6oMV-hZyuURL5SrX64sPRbFiqcJZqNhKTyoUrE8eWPAEf9El9x-c2aS5qy1afUkms7Ozk53s7mx2d4aQ6xWmwzgGLS0IuJ9jnqnlXNevottKz_TMQA1kuLepu-bEAzY5Y8wMDS8Nni5pVMa8p0eeK_kfrQIO9IqnZP9BsylTQAAM-oUraBiux9IxLRUoL1MhaMmmBU4LKmJsQQtMJhUkME4FGIwSY2tUFCWxhfSAESVqA1CkYhyIszJNldSQjSdEvIgbIhBjyMLgUccMcTbBsxJlUzsuxKKcIzWXQiFQBqaSCCiElojNDdTvH_mP4yNKnLJPuUI5qiwnSZKMUPTysVkiA23_JWLAokKV-e2yLKVICwLrATnaUI9ZycCWdQZy6DSJDH7YvEeDXm7pr8fuTqGVxV5O_GwjXc6QP2Qmi8V0p7oUVL5aLBaXAKjDTpeV7j-arWVLi9AtL9YG_9nkjf6mtbhrBzuJAS52Wj_mD-LiGDTp2KQNtMH8wECjx-5DEptFj52HHXQn_tswn26-nLTv3EOhNLQWGZjgeXWYDOsaxv-YWirt98Z5_N9o9NfgoeNXB51F5nWG7ie1_rOMH5v27oxZzBD90QPmFZYpZDzU9PXRAkxaD0wOccY0CzZerR4M2HjTp8jJRHuKHdOeJkNz82dIJj7BriSj4IJyI3HVfvMseRU2N7uddvhlL3y911tfDj9tdb93wo-7UWtP6baXexud8M2z3rvN6EUram0o0epO-Hmlt9rpNdtKtLMWNl_eUlKK3uYWEEBquL0CgBK2mwcTt59HrbXo_Vsl_NqJfmyEq-tK78Nu99vPc2S6XJouTuSS0CY5n3MzF-C22cDCNW3dc0VgcNOrCs0LfABcj3lgtQuPua5ZqXhoVrs6VGAAUw_GXIsH-nkyUpuv-ReJovOKa-UrRuBWXchQFSxgqsuEb3nS22SGXNivYudJ7MDGYSa67cyQUVnjTq268Ng54qvIkGugCmfOm3XQCT3eH847c3UHptq3HU01hWmp5qW_sblMTvTbwBUy0qgv-lfBkm9URuUH9wuR4N-y |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8F%99%EA%B8%B0%EB%A9%B4%EB%8B%B4%ED%94%84%EB%A1%9C%EA%B7%B8%EB%9E%A8%EC%9D%B4+%EA%B0%84%ED%98%B8%EB%8C%80%ED%95%99%EC%83%9D%EC%9D%98+%EC%8A%A4%EB%A7%88%ED%8A%B8%ED%8F%B0+%EC%A4%91%EB%8F%85%2C+%EB%8C%80%ED%95%99%EC%83%9D%ED%99%9C%EC%8A%A4%ED%8A%B8%EB%A0%88%EC%8A%A4+%EB%B0%8F+%EB%8C%80%ED%95%99%EC%83%9D%ED%99%9C%EC%A0%81%EC%9D%91%EC%97%90+%EB%AF%B8%EC%B9%98%EB%8A%94+%ED%9A%A8%EA%B3%BC&rft.jtitle=Journal+of+the+convergence+on+culture+technology+%3A+JCCT&rft.au=%EC%8B%A0%EC%9D%80%EC%84%A0&rft.au=Shin+Eun+Sun&rft.date=2025-03-01&rft.issn=2384-0358&rft.eissn=2384-0366&rft.volume=11&rft.issue=2&rft.spage=333&rft.epage=341&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JAKO202510750408320 |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384-0358&client=summon |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384-0358&client=summon |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384-0358&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