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기면담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대학생활스트레스 및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본 연구는 동기면담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대학생활스트레스 및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 지역에 소재한 일 대학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학생으로 동기면담 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없는 학생으로 하였다. 자료는 동기면담프로그램 전·후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2022년 10월 21일부터 11월 25일까지 수집하 였으며, 단일군 전후설계 연구이다. 자료분석은 SPSS/WIN version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Shapiro-Wilk test...
Saved in:
| Published in |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11; no. 2; pp. 333 - 341 |
|---|---|
| Main Author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01.03.2025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2384-0358 2384-0366 |
Cover
| Summary: | 본 연구는 동기면담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대학생활스트레스 및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 지역에 소재한 일 대학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학생으로 동기면담 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없는 학생으로 하였다. 자료는 동기면담프로그램 전·후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2022년 10월 21일부터 11월 25일까지 수집하 였으며, 단일군 전후설계 연구이다. 자료분석은 SPSS/WIN version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Shapiro-Wilk test,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폰 중독은 교육 전 평균 3.97±0.32점에서 교육 후 평균 3.13±0.36점이었 고, 대학생활스트레스는 교육 전 평균 3.82±0.36점에서 교육 후 평균 2.95±0.39점이었으며, 대학생활적응은 교육 전 평균 3.14±0.45점 에서 교육 후 평균 4.16±0.71점이었다. 동기면담프로그램 실시 전·후 스마트폰 중독(t=4.04, p=.011), 대학생활스트레스(t=12.73, p<.000), 대학생활적응(t=11.46, p<.000)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스마트폰이나 다양한 정보통신 관련 기기의 활용이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간호대학생들의 대학생활스트레스를 줄이면서 대학생활적응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 양한 전략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510750408320 |
| ISSN: | 2384-0358 2384-036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