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주 낙상 예방 운동프로그램 참여가 초고령자의 보행메커니즘에 미치는 영향
이 연구의 목적은 낙상 예방 운동프로그램이 초고령자의 보행 메커니즘에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낙상 예방 운동프로그램이 보행 메커니즘에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을 평가함으로써, 초고령자의 안전한 보행을 돕고 낙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전략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이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D광역시 S노인복 지관 낙상 예방 운동프로그램 참여자 75세 이상 초고령자 13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 다. 분석 결과 step length, stride length, stance phase, s...
Saved in:
| Published in |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11; no. 3; pp. 17 - 24 |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31.05.2025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2384-0358 2384-0366 |
Cover
| Summary: | 이 연구의 목적은 낙상 예방 운동프로그램이 초고령자의 보행 메커니즘에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낙상 예방 운동프로그램이 보행 메커니즘에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을 평가함으로써, 초고령자의 안전한 보행을 돕고 낙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전략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이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D광역시 S노인복 지관 낙상 예방 운동프로그램 참여자 75세 이상 초고령자 13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 다. 분석 결과 step length, stride length, stance phase, swing phase, pre-swing, cadence의 경우에는 유의한 차 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single suppport의 경우 좌측(t=-4.218, p<.01)과 우측(t=-2.685, p<.05) 모두 유의한 차 이가 나타났다. 또한 double support(t=-3.437, p<.01)와 speed(t=-3.684, p<.01)의 경우 에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 으며, step time에서도 좌측(-3.493, p<.01)과 우측(t=-4.355, p<.01)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 합한 결론은 이 연구는 초고령자의 보행 안정성과 속도를 개선하기 위해 낙상 예방 운동프로그램이 효과적일 수 있 음을 입증하였으며, 이를 통해 낙상 위험을 줄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 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516161205817 http://www.ipact.kr/eng/iconf/jcct/sub05.php |
| ISSN: | 2384-0358 2384-036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