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이미지 인식 서비스 환경의 Gradient 기반 적대적 공격 서비스 모델
AI 이미지 서비스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이미지 생성, 편집, 개선 등의 작업을 자동화하거나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AI 이미지 서비스에 대항하는 적대적 공격 서비스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gradient 기반의 적대적 공격 서비스를 중심으로 실험한다. Gradient 기반의 공격은 딥러닝 이미지 모델의 손실 함수의 기울기(gradient)를 이용하여 입력 이미지에 최소한의 변화를 준다. 본 연구에서는 gradient 기반의 적대적 공격 방법들과 핵심 코드들을 식별하고, 이어 RestNet18 환경에서 gradient 기반의...
Saved in:
Published i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Vol. 25; no. 3; pp. 17 - 24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30.06.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89-0238 2289-0246 |
DOI | 10.7236/JIIBC.2025.25.3.17 |
Cover
Summary: | AI 이미지 서비스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이미지 생성, 편집, 개선 등의 작업을 자동화하거나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AI 이미지 서비스에 대항하는 적대적 공격 서비스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gradient 기반의 적대적 공격 서비스를 중심으로 실험한다. Gradient 기반의 공격은 딥러닝 이미지 모델의 손실 함수의 기울기(gradient)를 이용하여 입력 이미지에 최소한의 변화를 준다. 본 연구에서는 gradient 기반의 적대적 공격 방법들과 핵심 코드들을 식별하고, 이어 RestNet18 환경에서 gradient 기반의 적대적 공격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공격의 위험성을 확인하고 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gradient 기반의 적대적 공격 모델 5개를 대상으로 적대적 공격 실험을 수행하였고 적대적 공격 성공 여부, PSNR 등의 성능 지표를 통해 결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에서는 최대 공격 성공률을 원하면 MI-FGSM 모델을, 시각적으로 은닉된 공격을 원한다면 A-MI-FGSM모델을, 탐지 우회를 선호하면 FGSM+Random 모델을, 공격 과 효율성의 균형을 원하면 MI-FGSM 모델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함을 확인할 수 있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518339604096 |
ISSN: | 2289-0238 2289-0246 |
DOI: | 10.7236/JIIBC.2025.25.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