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유지를 고려한 서울시 공공자전거 통행발생량 추정 모형 개발
최근 탄소중립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자전거의 통행행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경유지를 고려한 통행발생량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서울시 공공자전거인 ‘따릉이’의 GPS 주행궤적 데이 터를 이용하여 통행에서의 중간 경유지인 체류 지점을 파악하고, 인구, 토지이용, 물리적인 특 성을 반영한 통행발생량 모형을 분석하였다. 맵매칭과 체류 지점 탐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체류 지점을 추정한 결과, 전체 통행의 약 12.1%에서 체류 지점이 나타났다. 체류가 발생한 통행은 비체류에 비해 평균 이용거리와 이용시간이 더 길며, 체류 지점이 집중되는 시간...
Saved in:
Published in | 韓國ITS學會 論文誌 Vol. 22; no. 3; pp. 1 - 19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ITS학회
30.06.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0774 2384-1729 |
DOI | 10.12815/kits.2023.22.3.1 |
Cover
Abstract | 최근 탄소중립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자전거의 통행행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경유지를 고려한 통행발생량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서울시 공공자전거인 ‘따릉이’의 GPS 주행궤적 데이 터를 이용하여 통행에서의 중간 경유지인 체류 지점을 파악하고, 인구, 토지이용, 물리적인 특 성을 반영한 통행발생량 모형을 분석하였다. 맵매칭과 체류 지점 탐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체류 지점을 추정한 결과, 전체 통행의 약 12.1%에서 체류 지점이 나타났다. 체류가 발생한 통행은 비체류에 비해 평균 이용거리와 이용시간이 더 길며, 체류 지점이 집중되는 시간대는 오전 첨두시와 오후 첨두시 사이의 비첨두시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각화 분석에 따르면 공원 및 레저 시설, 업무시설에서 주로 체류 지점이 나타났다. 체류 지점을 고려하기 위하여 기존의 대여소 기반이 아닌 육각격자를 분석단위로 설정하였으며, 영과잉 음이항(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ZINB) 모형을 이용하여 체류 지점을 고려한 통행발생량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자전거전용도로 및 자전거·보행자겸용도로(분리형)와 같이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이 확 보된 자전거 인프라에서 통행발생량 및 체류 지점에서 발생한 통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공자전거는 대중교통의 접근수단으로서 퍼스트&라스트 마일 수단의 역할을 하며, 생 활중심지와 고용중심지에서 통행발생량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 로 자전거 인프라의 추가 확충 계획 시 이용자의 안전시설 및 공간 확보가 우선돼야 하며, 대 중교통과 연계한 자전거 인프라 시설 보급방안의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
AbstractList | Bikes have recently emerged as an alternative to carbon neutrality. To understand the demand for public bikes, we endeavored to estimate travel frequency of public bike by considering the intermediate stops. Using the GPS trajectory data of 'Ttareungyi', a public bike service in Seoul, we identified a stay point and estimated travel frequency reflecting population, land use,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Application of map matching and a stay point detection algorithm revealed that stay point appeared in about 12.1% of the total trips. Compared to a trip without stay point, the trip with stay point has a longer average travel distance and travel time and a higher occurrence rate during off-peak hours. According to visualization analysis, the stay points are mainly found in parks, leisure facilities, and business facilities. To consider the stay point, the unit of analysis was set as a hexagonal grid rather than the existing rental station base. Travel frequency considering the stay point were analyzed using the 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ZINB) model. Results of our analysis revealed that the travel frequency were higher in bike infrastructure where the safety of bike users was secured, such as 'Bikepath' and 'Bike and pedestrian path'. Also, public bikes play a role as first & last mile means of access to public transportation. The measure of travel frequency was also observed to increase in life and employment centers.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ecuring safety facilities and space for users should be given priority when planning any additional expansion of bike infrastructure. Moreover, there is a necessity to establish a plan to supply bike infrastructure facilities linked to public transportation, especially the subway. 최근 탄소중립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자전거의 통행행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경유지를 고려한 통행발생량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서울시 공공자전거인 '따릉이'의 GPS 주행궤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행에서의 중간 경유지인 체류 지점을 파악하고, 인구, 토지이용, 물리적인 특성을 반영한 통행발생량 모형을 분석하였다. 맵매칭과 체류 지점 탐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체류 지점을 추정한 결과, 전체 통행의 약 12.1%에서 체류 지점이 나타났다. 체류가 발생한 통행은 비체류에 비해 평균 이용거리와 이용시간이 더 길며, 체류 지점이 집중되는 시간대는 오전 첨두시와 오후 첨두시 사이의 비첨두시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각화 분석에 따르면 공원 및 레저 시설, 업무시설에서 주로 체류 지점이 나타났다. 체류 지점을 고려하기 위하여 기존의 대여소 기반이 아닌 육각격자를 분석단위로 설정하였으며, 영과잉 음이항(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ZINB) 모형을 이용하여 체류 지점을 고려한 통행발생량을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자전거전용도로 및 자전거·보행자겸용도로(분리형)와 같이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이 확보된 자전거 인프라에서 통행발생량 및 체류 지점에서 발생한 통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공자전거는 대중교통의 접근수단으로서 퍼스트&라스트 마일 수단의 역할을 하며, 생활중심지와 고용중심지에서 통행발생량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자전거 인프라의 추가 확충 계획 시 이용자의 안전시설 및 공간 확보가 우선돼야 하며, 대중교통과 연계한 자전거 인프라 시설 보급방안의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 탄소중립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자전거의 통행행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경유지를 고려한 통행발생량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서울시 공공자전거인 ‘따릉이’의 GPS 주행궤적 데이 터를 이용하여 통행에서의 중간 경유지인 체류 지점을 파악하고, 인구, 토지이용, 물리적인 특 성을 반영한 통행발생량 모형을 분석하였다. 맵매칭과 체류 지점 탐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체류 지점을 추정한 결과, 전체 통행의 약 12.1%에서 체류 지점이 나타났다. 체류가 발생한 통행은 비체류에 비해 평균 이용거리와 이용시간이 더 길며, 체류 지점이 집중되는 시간대는 오전 첨두시와 오후 첨두시 사이의 비첨두시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각화 분석에 따르면 공원 및 레저 시설, 업무시설에서 주로 체류 지점이 나타났다. 체류 지점을 고려하기 위하여 기존의 대여소 기반이 아닌 육각격자를 분석단위로 설정하였으며, 영과잉 음이항(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ZINB) 모형을 이용하여 체류 지점을 고려한 통행발생량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자전거전용도로 및 자전거·보행자겸용도로(분리형)와 같이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이 확 보된 자전거 인프라에서 통행발생량 및 체류 지점에서 발생한 통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공자전거는 대중교통의 접근수단으로서 퍼스트&라스트 마일 수단의 역할을 하며, 생 활중심지와 고용중심지에서 통행발생량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 로 자전거 인프라의 추가 확충 계획 시 이용자의 안전시설 및 공간 확보가 우선돼야 하며, 대 중교통과 연계한 자전거 인프라 시설 보급방안의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 탄소중립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자전거의 통행행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경유지를고려한 통행발생량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서울시 공공자전거인 ‘따릉이’의 GPS 주행궤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행에서의 중간 경유지인 체류 지점을 파악하고, 인구, 토지이용, 물리적인 특성을 반영한 통행발생량 모형을 분석하였다. 맵매칭과 체류 지점 탐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체류 지점을 추정한 결과, 전체 통행의 약 12.1%에서 체류 지점이 나타났다. 체류가 발생한통행은 비체류에 비해 평균 이용거리와 이용시간이 더 길며, 체류 지점이 집중되는 시간대는오전 첨두시와 오후 첨두시 사이의 비첨두시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각화 분석에 따르면 공원및 레저 시설, 업무시설에서 주로 체류 지점이 나타났다. 체류 지점을 고려하기 위하여 기존의대여소 기반이 아닌 육각격자를 분석단위로 설정하였으며, 영과잉 음이항(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ZINB) 모형을 이용하여 체류 지점을 고려한 통행발생량을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자전거전용도로 및 자전거·보행자겸용도로(분리형)와 같이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이 확보된 자전거 인프라에서 통행발생량 및 체류 지점에서 발생한 통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공자전거는 대중교통의 접근수단으로서 퍼스트&라스트 마일 수단의 역할을 하며, 생활중심지와 고용중심지에서 통행발생량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자전거 인프라의 추가 확충 계획 시 이용자의 안전시설 및 공간 확보가 우선돼야 하며, 대중교통과 연계한 자전거 인프라 시설 보급방안의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Bikes have recently emerged as an alternative to carbon neutrality. To understand the demand for public bikes, we endeavored to estimate travel frequency of public bike by considering the intermediate stops. Using the GPS trajectory data of ‘Ttareungyi’, a public bike service in Seoul, we identified a stay point and estimated travel frequency reflecting population, land use,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Application of map matching and a stay point detection algorithm revealed that stay point appeared in about 12.1% of the total trips. Compared to a trip without stay point, the trip with stay point has a longer average travel distance and travel time and a higher occurrence rate during off-peak hours. According to visualization analysis, the stay points are mainly found in parks, leisure facilities, and business facilities. To consider the stay point, the unit of analysis was set as a hexagonal grid rather than the existing rental station base. Travel frequency considering the stay point were analyzed using the 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ZINB) model. Results of our analysis revealed that the travel frequency were higher in bike infrastructure where the safety of bike users was secured, such as ‘Bikepath’ and ‘Bike and pedestrian path’. Also, public bikes play a role as first & last mile means of access to public transportation. The measure of travel frequency was also observed to increase in life and employment centers.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ecuring safety facilities and space for users should be given priority when planning any additional expansion of bike infrastructure. Moreover, there is a necessity to establish a plan to supply bike infrastructure facilities linked to public transportation, especially the subway. KCI Citation Count: 0 |
Author | 고준호 박종한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박종한 – sequence: 2 fullname: 고준호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71325$$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otkEtLw0AUhQdRsNb-ADeSjRshcZ7JZFmKj2qhIHU95DGR0NpK0o07wSIUNy6siETNQlFcVaXiQv9QM_0Ppla4cODej3MOdwnMtzttCcAKggbCHLGNZtiNDQwxMTA2iIHmQAETTnVkYXseFJBFuA4tiy6CUhyHLiQmtmwIcQEcjN9_VJKq59Ps6Vsbf6RZ-jgZJJrqJer2S10k-W6Uj7q_VGlv_DbUJuejyXU_Gybq7C576Gvq80qlAy17fZncDLTxMMlPy2AhcFqxLP1rETS2NhuVHb1W365WyjVd8rwdgwHzOUaSWYH0TerkpTxs-h5HUjLpIuYEnDOb28izA-g7lusylzIZUIoDn5EiWJ_ZtqNANL1QdJzwTw87ohmJ8n6jKhDEJs7TcnhtBjfDuBuKth-3xG55rz59G0aUckaxbU-51Rknnagbei0pjqPwyIlOBCXItAn5BZJvh5Y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M1Z JDI ACYCR |
DEWEY | 388.3 |
DOI | 10.12815/kits.2023.22.3.1 |
DatabaseName | e-article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iscipline | Economics Journalism & Communications |
DocumentTitleAlternate | Estimating Travel Frequency of Public Bikes in Seoul Considering Intermediate Stops |
EISSN | 2384-1729 |
EndPage | 19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10262884 JAKO202321448542994 431693 |
GroupedDBID | M1Z .UV JDI ACYCR |
ID | FETCH-LOGICAL-e884-50f5d821e57fed64a279c26dc81ee5eb15af8859891c9f0da7bb5b45ef442fd53 |
ISSN | 1738-0774 |
IngestDate | Sat Jul 13 03:11:46 EDT 2024 Fri Dec 22 12:03:55 EST 2023 Fri Jun 21 15:40:10 EDT 2024 |
IsDoiOpenAccess | true |
IsOpenAccess | true |
IsPeerReviewed | false |
IsScholarly | true |
Issue | 3 |
Keywords | 공공자전거 체류 지점 Public bike Travel frequency Zero- Inflated Negative Binomial 통행발생량 Stay point GPS 주행궤적 데이터 GPS Trajectory Data 영과잉 음이항 GPS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e884-50f5d821e57fed64a279c26dc81ee5eb15af8859891c9f0da7bb5b45ef442fd53 |
Notes | KISTI1.1003/JNL.JAKO202321448542994 http://journal.kits.or.kr/ |
OpenAccessLink |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321448542994&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
PageCount | 19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262884 kisti_ndsl_JAKO202321448542994 earticle_primary_431693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230630 |
PublicationDateYYYYMMDD | 2023-06-30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6 year: 2023 text: 20230630 day: 30 |
PublicationDecade | 2020 |
PublicationTitle | 韓國ITS學會 論文誌 |
PublicationTitleAlternate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
PublicationYear | 2023 |
Publisher | 한국ITS학회 |
Publisher_xml | – name: 한국ITS학회 |
SSID | ssib036279002 ssib053377138 ssib012146223 ssib023739049 ssib004698092 ssib008451679 ssib044738259 |
Score | 2.2398124 |
Snippet | 최근 탄소중립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자전거의 통행행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경유지를 고려한 통행발생량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서울시 공공자전거인 ‘따릉이’의 GPS... Bikes have recently emerged as an alternative to carbon neutrality. To understand the demand for public bikes, we endeavored to estimate travel frequency of... 최근 탄소중립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자전거의 통행행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경유지를고려한 통행발생량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서울시 공공자전거인 ‘따릉이’의 GPS... |
SourceID | nrf kisti earticle |
SourceType |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
StartPage | 1 |
SubjectTerms | 전자/정보통신공학 |
TableOfContents |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1. 통행발생량에 관한 연구
2. 공유자전거 이용특성 및 수요예측에 관한 연구
3.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
Ⅲ. 방법론
1. 맵매칭
2. 체류 지점 탐지
3. 영과잉 음이항 회귀모형(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ZINB)
Ⅳ.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1. 데이터
2. 체류 지점
3. 분석단위 및 분석 설정
Ⅴ. 분석 결과
Ⅵ. 결론
ACKNOWLEDGEMENTS
REFERENCES |
Title | 경유지를 고려한 서울시 공공자전거 통행발생량 추정 모형 개발 |
URI | https://www.earticle.net/Article/A431693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321448542994&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71325 |
Volume | 22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한국ITS학회 논문지, 2023, 22(3), 107, pp.1-19 |
journalDatabaseRights |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384-1729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38259 issn: 1738-0774 databaseCode: M~E dateStart: 2002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b9MwFI_GuHBBIL7GxxQJfKpaEsdO7GPSdtqGgAOdtFuUTzQVdWh0Fw4IiQlp4sKBIYQK9AACcRqgIQ7wD7XpiX-A95ykjfiQAKlyrefn5_j3HOc5dt7TtEtGGlMhGNxILMZXN6ZZD3jk1CNbyiQyYzOM1QHZa_byGltd5-tzc98rp5a2-2Ejuvvb70r-R6tAA73iV7L_oNmpUCBAHvQLKWgY0r_SMWm7xKPEa5F2k8gmcQ3MuA4eX2h7xOXEa9YUk6XKPExdRtotIjlUqCG7YFgVBQCfUBQvL1P1PF7JAFObyLwVA2tikUk8o4Yyha2YQLhNhMTmPKOQLSwiW0iRS1Ck2vVsIlkhSfKaujqXuEIJEDnJLSUUoqqm9LQXio0Tt7XSuVESpcq4RKi6AoFQDTSLLiqMysFWilcddCmyl7JnLFMQm4ggAqwu0xPV9ybUKg_5Tad6B6Z6w8ljBJXPAkorY96qTOxmxULI5_hfnj1UKD8d3Y0-uoGnVoPShtUwZw_a6fFHdD8grUPaYerYNobduHqvXdlqlsKobHULDKU820o1MRJ7xaajlmPJylYpGCSONGY-3RiDflbWuGDeO46pIrxPESh2-7EDl3--fDTSigEO6zdc1GyAGdbbSitmWOeYdrRYP-luzntcm-tuntDWRh-_ZYNh9vb--M1XffRpOB6-nuwN9GxnkD3_kj0aAO0AftnLx9lwZ_RhX588PJg83R3vD7IHL8avdvXs85NsuKeP37-bPNvTR_sDKDqpdZbaneZyvYgXUk9guqlzI-WxoGbCnTSJbRYAEBG140iYScLBJuFBKgSXQpqRTI04cMKQh4wnKWM0jbl1SpvvbfaSM5ouoySgCYuDQHBIzSAKUyMyUxvAt0RIF7TTJSj-7dwrjJ8rdUFbVBj5vfjOLX_VvXIdsUS_hAIjw0m2oF0E8PxutOGjZ3f8v7npd7d8WL-u-GDuY_xvdvaPDZzTjsxG83ltvr-1nVwAu7gfLqpx9AOM8ZcY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2%BD%EC%9C%A0%EC%A7%80%EB%A5%BC+%EA%B3%A0%EB%A0%A4%ED%95%9C+%EC%84%9C%EC%9A%B8%EC%8B%9C+%EA%B3%B5%EA%B3%B5%EC%9E%90%EC%A0%84%EA%B1%B0+%ED%86%B5%ED%96%89%EB%B0%9C%EC%83%9D%EB%9F%89+%EC%B6%94%EC%A0%95+%EB%AA%A8%ED%98%95+%EA%B0%9C%EB%B0%9C&rft.jtitle=%ED%95%9C%EA%B5%ADITS%ED%95%99%ED%9A%8C%EB%85%BC%EB%AC%B8%EC%A7%80&rft.au=%EB%B0%95%EC%A2%85%ED%95%9C&rft.au=%EA%B3%A0%EC%A4%80%ED%98%B8&rft.date=2023-06-30&rft.issn=1738-0774&rft.volume=22&rft.issue=3&rft.spage=1&rft.epage=19&rft_id=info:doi/10.12815%2Fkits.2023.22.3.1&rft.externalDocID=431693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738-0774&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738-0774&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738-0774&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