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기반 지능형 허위 과대광고 위험경보 분석 시스템 개발
본 연구에서는 언택트 시대에 안전한 비대면 소비 활동의 활성화를 위하여 온라인 광고 콘텐츠(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의 게시 주소(or 내용)을 입력하면 인공지능 기반으로 허위 과대광고 위험도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지능형 허위 과대광고 위험경보 분석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건강기능식품을 우선 적용 분야로 선정하여 온라인 상 에서 유통·판매 중인 다양한 품목별 부당한 표시 또는 광고행위 내용 특성이 무엇인지 식별을 위한 AI 학습용 데이터셋 및 분류모델을 개발하였다. 허위 과대광고 데이터 정의 및 수집·확보를 위해 식...
Saved in:
Published i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Vol. 25; no. 1; pp. 215 - 225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8.02.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89-0238 2289-0246 |
DOI | 10.7236/JIIBC.2025.25.1.215 |
Cover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언택트 시대에 안전한 비대면 소비 활동의 활성화를 위하여 온라인 광고 콘텐츠(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의 게시 주소(or 내용)을 입력하면 인공지능 기반으로 허위 과대광고 위험도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지능형 허위 과대광고 위험경보 분석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건강기능식품을 우선 적용 분야로 선정하여 온라인 상 에서 유통·판매 중인 다양한 품목별 부당한 표시 또는 광고행위 내용 특성이 무엇인지 식별을 위한 AI 학습용 데이터셋 및 분류모델을 개발하였다. 허위 과대광고 데이터 정의 및 수집·확보를 위해 식약처 공공데이터 포털에서 제공·보유 중인 개방형 데이터 수집·활용해 건강기능식품 유형별 허위 과대광고 학습모델 개발에 활용하였고 온라인 유통·판매 채널들의 광고콘텐츠 웹게시 페이지를 크롤링 방식으로 수집해 광고 콘텐츠 유형별 허위과대광고 식별모델 테스트 셋으로 활용하 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은 식품이외에도 금융이나 제조, 건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향후 잠재력 이 매우 높은 기술이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508350404252 |
ISSN: | 2289-0238 2289-0246 |
DOI: | 10.7236/JIIBC.2025.25.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