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도로 내 보행자 사고유형별 안전 지표 분석

이 연구는 생활도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유형의 보행자 사고(교통사고, 범죄, 군중 압사 사고, 낙상)에 대한 안전 지표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연구의 필요성은 이러한 도로 의 복잡성과 협소함이 보행자 안전에 큰 위협이 된다는 점에서 비롯된다. 연구에서는 문헌조 사, 사례조사, 현장조사를 통해 보행자 사고의 위험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위험요인들을 계층적 분석법(AHP)을 사용하여 각 안전 지표의 상대적 중요도를 체계적으로 평가하였다. 분 석 결과, 교통사고의 경우 보행자와 차량의 경로 분리 및 유효 보도 폭이 중요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韓國ITS學會 論文誌 Vol. 23; no. 5; pp. 34 - 46
Main Authors 이정현, 안세영, 이재덕, 노찬우, 장일준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ITS학회 31.10.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0774
2384-1729
DOI10.12815/kits.2024.23.5.34

Cover

Abstract 이 연구는 생활도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유형의 보행자 사고(교통사고, 범죄, 군중 압사 사고, 낙상)에 대한 안전 지표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연구의 필요성은 이러한 도로 의 복잡성과 협소함이 보행자 안전에 큰 위협이 된다는 점에서 비롯된다. 연구에서는 문헌조 사, 사례조사, 현장조사를 통해 보행자 사고의 위험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위험요인들을 계층적 분석법(AHP)을 사용하여 각 안전 지표의 상대적 중요도를 체계적으로 평가하였다. 분 석 결과, 교통사고의 경우 보행자와 차량의 경로 분리 및 유효 보도 폭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 타났다. 범죄 관련 사고에서는 조명과 CCTV 설치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군중 압사 사고에서는 보행자 통행량과 유효 보도 폭이 주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낙상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경사도와 유효 보도 폭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생활 도로의 안전성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대책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List 이 연구는 생활도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유형의 보행자 사고(교통사고, 범죄, 군중 압사 사고, 낙상)에 대한 안전 지표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연구의 필요성은 이러한 도로 의 복잡성과 협소함이 보행자 안전에 큰 위협이 된다는 점에서 비롯된다. 연구에서는 문헌조 사, 사례조사, 현장조사를 통해 보행자 사고의 위험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위험요인들을 계층적 분석법(AHP)을 사용하여 각 안전 지표의 상대적 중요도를 체계적으로 평가하였다. 분 석 결과, 교통사고의 경우 보행자와 차량의 경로 분리 및 유효 보도 폭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 타났다. 범죄 관련 사고에서는 조명과 CCTV 설치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군중 압사 사고에서는 보행자 통행량과 유효 보도 폭이 주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낙상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경사도와 유효 보도 폭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생활 도로의 안전성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대책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safety indicators for various types of pedestrian accidents (traffic accidents, crimes, crowd crush incidents, and falls) in urban community roads. The need for this research arises from the complexity and narrowness of these streets, which significantly threaten pedestrian safety. The study employed literature reviews, case studies, and field surveys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pedestrian accidents. These risk factors were then systematically evaluated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o determine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safety indicator. The analysis revealed that for traffic accidents, factors such as the separation of pedestrian and vehicle paths and the effective sidewalk width are critical. For crime-related incidents, lighting and CCTV coverage were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In crowd crush incidents, pedestrian traffic volume and effective sidewalk width were identified as key indicators, while slope and effective sidewalk width were crucial for preventing falls.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argeted safety improvement measures for urban community roads. 이 연구는 생활도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유형의 보행자 사고(교통사고, 범죄, 군중 압사 사고, 낙상)에 대한 안전 지표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연구의 필요성은 이러한 도로의 복잡성과 협소함이 보행자 안전에 큰 위협이 된다는 점에서 비롯된다. 연구에서는 문헌조사, 사례조사, 현장조사를 통해 보행자 사고의 위험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위험요인들을 계층적 분석법(AHP)을 사용하여 각 안전 지표의 상대적 중요도를 체계적으로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교통사고의 경우 보행자와 차량의 경로 분리 및 유효 보도 폭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범죄 관련 사고에서는 조명과 CCTV 설치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군중 압사 사고에서는 보행자 통행량과 유효 보도 폭이 주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낙상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경사도와 유효 보도 폭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생활도로의 안전성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대책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생활도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유형의 보행자 사고(교통사고, 범죄, 군중 압사사고, 낙상)에 대한 안전 지표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연구의 필요성은 이러한 도로의 복잡성과 협소함이 보행자 안전에 큰 위협이 된다는 점에서 비롯된다. 연구에서는 문헌조사, 사례조사, 현장조사를 통해 보행자 사고의 위험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위험요인들을계층적 분석법(AHP)을 사용하여 각 안전 지표의 상대적 중요도를 체계적으로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교통사고의 경우 보행자와 차량의 경로 분리 및 유효 보도 폭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범죄 관련 사고에서는 조명과 CCTV 설치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군중압사 사고에서는 보행자 통행량과 유효 보도 폭이 주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낙상 사고를예방하기 위해서는 경사도와 유효 보도 폭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생활도로의 안전성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대책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safety indicators for various types of pedestrian accidents (traffic accidents, crimes, crowd crush incidents, and falls) in urban community roads. The need for this research arises from the complexity and narrowness of these streets, which significantly threaten pedestrian safety. The study employed literature reviews, case studies, and field surveys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pedestrian accidents. These risk factors were then systematically evaluated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o determine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safety indicator. The analysis revealed that for traffic accidents, factors such as the separation of pedestrian and vehicle paths and the effective sidewalk width are critical. For crime-related incidents, lighting and CCTV coverage were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In crowd crush incidents, pedestrian traffic volume and effective sidewalk width were identified as key indicators, while slope and effective sidewalk width were crucial for preventing falls.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argeted safety improvement measures for urban community roads. KCI Citation Count: 0
Author 이재덕
안세영
이정현
노찬우
장일준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이정현
– sequence: 2
  fullname: 안세영
– sequence: 3
  fullname: 이재덕
– sequence: 4
  fullname: 노찬우
– sequence: 5
  fullname: 장일준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32047$$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0D9Lw0AYx_FDKlhr34CDZHEREu_uuT_JJKX4p1ooSPejl14ktKaSdHGTmkEndagotFInF7cWX5RJ34PROn3h4cNveDZRKRpEBqFtgh1CXcL3e-EwcSimzKHgcAfYGipTcJlNJPVKqEwkuDaWkm2gapKEGoOg0sOYltFBfjtdvk6yhzR7n1jZaGFl88Xy-T5_e7Ty0ef3fJZPZsuXcTZPrXx8l8-KfNwsnwr7lebpdAutB51-Yqr_raD20WG7fmI3W8eNeq1pG9cFW3DCoRtwYF2OA-0bTSVgDsY1LqW-xj4BwbQIgBDtdYubJz1KtBZa-p7AUEF7q9koDlTPD9WgE_71YqB6saqdtxuKYMGwACjw7gr3wmQYqqib9NVp7az1-yEAJinGHLuycDsrZzrxMPT7Rl3F4WUnvlaMC8E4_ADkxXXh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JDI
ACYCR
DEWEY 388.3
DOI 10.12815/kits.2024.23.5.34
DatabaseName 학술교육원 E-Article
[Open Acces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Economics
Journalism & Communications
DocumentTitleAlternate Analysis of Safety Indicators by Pedestrian Accident Types in Urban Community Roads
EISSN 2384-1729
EndPage 46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640633
JAKO202433472005087
456645
GroupedDBID M1Z
.UV
JDI
ACYCR
ID FETCH-LOGICAL-e883-65153df534d50fbceb273053e8e822cb0c1364b6f311b9d82297921bb6b7c9603
ISSN 1738-0774
IngestDate Wed Nov 06 05:50:52 EST 2024
Thu Dec 12 02:21:44 EST 2024
Sun Nov 03 04:22:27 EST 2024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true
Issue 5
Keywords 생활도로
계층적 분석법
보행자 사고 위험요인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안전성 지표
Safety Indicators
Pedestrian Accident Risk Factors
Community Road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883-65153df534d50fbceb273053e8e822cb0c1364b6f311b9d82297921bb6b7c9603
Notes KISTI1.1003/JNL.JAKO202433472005087
http://journal.kits.or.kr/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433472005087&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13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640633
kisti_ndsl_JAKO202433472005087
earticle_primary_456645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41031
PublicationDateYYYYMMDD 2024-10-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0
  year: 2024
  text: 202410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韓國ITS學會 論文誌
PublicationTitleAlternat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PublicationYear 2024
Publisher 한국ITS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ITS학회
SSID ssib036279002
ssib053377138
ssib012146223
ssib023739049
ssib004698092
ssib008451679
ssib044738259
Score 2.286312
Snippet 이 연구는 생활도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유형의 보행자 사고(교통사고, 범죄, 군중 압사 사고, 낙상)에 대한 안전 지표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연구의...
This study aims to analyze safety indicators for various types of pedestrian accidents (traffic accidents, crimes, crowd crush incidents, and falls) in urban...
이 연구는 생활도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유형의 보행자 사고(교통사고, 범죄, 군중 압사사고, 낙상)에 대한 안전 지표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연구의 필요성은...
SourceID nrf
kisti
earticle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34
SubjectTerms 전자/정보통신공학
TableOfContents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1. 위험요인 도출에 관한 연구 2. 안전진단에 관한 연구 3. 본 연구의 차별성 Ⅲ. 위험요인 도출 및 요인별 위험도 평가 1. 연구 방법론 2. 사고유형별 안전성 지표 도출 3. AHP 기반 지표별 중요도 분석 Ⅳ. 결론 REFERENCES
Title 생활도로 내 보행자 사고유형별 안전 지표 분석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456645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433472005087&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32047
Volume 23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ITS학회 논문지, 2024, 23(5), 115, pp.34-46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384-1729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38259
  issn: 1738-0774
  databaseCode: M~E
  dateStart: 2002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b9MwFLfKuHBBIL7Kx1QJfJpaktiJ7RNK2k7b0OBAkXaL5iRFU1GHSnfhgNDoAU7AYQikDpUTF26d-KNo-hdw4T0nbTNtSMAleXV_sZ_93Pj37NqPkDvA8HU7suNqwrkCB8Uzvzm3am1HcQL8SFsCNzhvPvDWHvONLXerVPpV-NfSXl_Xohen7iv5H6tCGtgVd8n-g2XnmUICyGBfuIKF4fpXNqbNOpWMqgZtNqhSVNVpM6BylUqOgm9DyopJcmjAjRQwkAzco1JhBqpJlbVisnKoDzn4CPIt813dCICWVLn585IbNHyWEgVA5Em-wD9OIHxecuAZZep4VY0iFTY41-gMJbrUb6y3Hs0SlRF8KrMauTQwAqgXyHlJs85itGmYehltUFOjsuTHIDOFQZUsF4TYp-YCjeJnRaM-C0imi3k4sAykjmoGVnH2xOGFYSd74Qt44VsiixQ0GxGyHdB5z3cLr_d83jUjCtnU6YkhyJHmuI7OTh9Pg3d4zWE1tzZ78tjR3kBePe6eIWcdGJIw7sjmy2ZhyVlJq7DkLTGk8mJJ1caI7AVu5zDBVGHJFIiJUNbibDfOoaYFXxdovhC2ifQ-b4N8UxnW4O4J_ZGt5T0dHDn0bnaAj3V77QIfa10g53NHquJn2Iuk1Nm9RO6lrw-nn4eTd4PJ12Flsn9UmYyPph_fpl_eV9L97z_Ho3Q4mn46mIwHlfTgTTqC27dX0w-A_TFIB4eXSWu12aqvVfMQIdVESlb1gI2zuO0yHrtWW0eJBjYOVUtkAsQ30lZkM49rr81sW6sYgxsI5dhae1pE4LuzK2Spu9tNrpFKrLYd7oH7zBi4EMJTbcVjrSWQSJtLZZfJ1Vn1w2fZQTBhZr8yWTatEXbj50_DDf_-Q2w2xrjAGVtLijK5Dc0UdqKdEA9zx_uT3bDTC8FlXQ9tXEv3GLv-xwJukHOLrnuTLPV7e8ktoMJ9vWy6zG8-Y4fz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83%9D%ED%99%9C%EB%8F%84%EB%A1%9C+%EB%82%B4+%EB%B3%B4%ED%96%89%EC%9E%90+%EC%82%AC%EA%B3%A0%EC%9C%A0%ED%98%95%EB%B3%84+%EC%95%88%EC%A0%84+%EC%A7%80%ED%91%9C+%EB%B6%84%EC%84%9D&rft.jtitle=%ED%95%9C%EA%B5%ADITS%ED%95%99%ED%9A%8C%EB%85%BC%EB%AC%B8%EC%A7%80&rft.au=%EC%9D%B4%EC%A0%95%ED%98%84&rft.au=%EC%95%88%EC%84%B8%EC%98%81&rft.au=%EC%9D%B4%EC%9E%AC%EB%8D%95&rft.au=%EB%85%B8%EC%B0%AC%EC%9A%B0&rft.date=2024-10-31&rft.issn=1738-0774&rft.volume=23&rft.issue=5&rft.spage=34&rft.epage=46&rft_id=info:doi/10.12815%2Fkits.2024.23.5.34&rft.externalDocID=456645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738-0774&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738-0774&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738-0774&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