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도로 내 보행자 사고유형별 안전 지표 분석
이 연구는 생활도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유형의 보행자 사고(교통사고, 범죄, 군중 압사 사고, 낙상)에 대한 안전 지표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연구의 필요성은 이러한 도로 의 복잡성과 협소함이 보행자 안전에 큰 위협이 된다는 점에서 비롯된다. 연구에서는 문헌조 사, 사례조사, 현장조사를 통해 보행자 사고의 위험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위험요인들을 계층적 분석법(AHP)을 사용하여 각 안전 지표의 상대적 중요도를 체계적으로 평가하였다. 분 석 결과, 교통사고의 경우 보행자와 차량의 경로 분리 및 유효 보도 폭이 중요한...
Saved in:
Published in | 韓國ITS學會 論文誌 Vol. 23; no. 5; pp. 34 - 46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ITS학회
31.10.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0774 2384-1729 |
DOI | 10.12815/kits.2024.23.5.34 |
Cover
Summary: | 이 연구는 생활도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유형의 보행자 사고(교통사고, 범죄, 군중 압사 사고, 낙상)에 대한 안전 지표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연구의 필요성은 이러한 도로 의 복잡성과 협소함이 보행자 안전에 큰 위협이 된다는 점에서 비롯된다. 연구에서는 문헌조 사, 사례조사, 현장조사를 통해 보행자 사고의 위험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위험요인들을 계층적 분석법(AHP)을 사용하여 각 안전 지표의 상대적 중요도를 체계적으로 평가하였다. 분 석 결과, 교통사고의 경우 보행자와 차량의 경로 분리 및 유효 보도 폭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 타났다. 범죄 관련 사고에서는 조명과 CCTV 설치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군중 압사 사고에서는 보행자 통행량과 유효 보도 폭이 주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낙상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경사도와 유효 보도 폭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생활 도로의 안전성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대책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433472005087 http://journal.kits.or.kr/ |
ISSN: | 1738-0774 2384-1729 |
DOI: | 10.12815/kits.2024.23.5.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