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의 미디어 이용과 디지털전환 체감 분석 : 2023 미디어 다이어리 활용

본 연구는 60세 이상 노인의 미디어 이용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2023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의 미디어 다이어리 를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60세 이상 3,414명이 3일간 기록한 총 10,242건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TV, 라디오, 유튜 브, 통화, 문자/메일, 소셜미디어, 게임 등 7가지 미디어의 평균 이용 시간과 시간대별 이용 패턴을 분석하였다. 또한, 주중과 주말의 미디어 이용 시간 차이와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미디어 이용 시간의 차이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7가지 미디어 이용 시간이 디지털전환 체감정도에 미치는 영향...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Vol. 25; no. 1; pp. 159 - 169
Main Author 김민정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8.02.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9-0238
2289-0246
DOI10.7236/JIIBC.2025.25.1.159

Cover

Abstract 본 연구는 60세 이상 노인의 미디어 이용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2023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의 미디어 다이어리 를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60세 이상 3,414명이 3일간 기록한 총 10,242건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TV, 라디오, 유튜 브, 통화, 문자/메일, 소셜미디어, 게임 등 7가지 미디어의 평균 이용 시간과 시간대별 이용 패턴을 분석하였다. 또한, 주중과 주말의 미디어 이용 시간 차이와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미디어 이용 시간의 차이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7가지 미디어 이용 시간이 디지털전환 체감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의 미디어 이용에서 TV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통화와 문자/메일의 높은 사용량은 노인들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주중에는 통화와 문자/메일 등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미디어 이용이 두드러졌고, 주말에는 TV 시청이 크게 증가하였다.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분석에서는 성별, 연령, 교육 수준, 소득 수준에 따라 디지털 미디어 이용에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전통적 미디어 및 디지털 미디어의 이용이 노인층의 디지털전환 체감정도에 미치는 영향 은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본 연구는 노인의 미디어 이용을 다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통찰을 제공하며, 노인 세대 내 디지털 격차를 확인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AbstractList 본 연구는 60세 이상 노인의 미디어 이용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2023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의 미디어 다이어리를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60세 이상 3,414명이 3일간 기록한 총 10,242건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TV, 라디오, 유튜브, 통화, 문자/메일, 소셜미디어, 게임 등 7가지 미디어의 평균 이용 시간과 시간대별 이용 패턴을 분석하였다. 또한, 주중과 주말의 미디어 이용 시간 차이와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미디어 이용 시간의 차이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7가지 미디어 이용 시간이 디지털전환 체감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의 미디어 이용에서 TV가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통화와 문자/메일의 높은 사용량은 노인들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점을보여주었다. 주중에는 통화와 문자/메일 등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미디어 이용이 두드러졌고, 주말에는 TV 시청이크게 증가하였다.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분석에서는 성별, 연령, 교육 수준, 소득 수준에 따라 디지털 미디어 이용에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전통적 미디어 및 디지털 미디어의 이용이 노인층의 디지털전환 체감정도에 미치는 영향은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본 연구는 노인의 미디어 이용을 다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통찰을 제공하며, 노인 세대 내디지털 격차를 확인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This study analyzes media usage among adults aged 60 and older using media diary data from the 2023 Korean Media Panel Survey. Based on 10,242 records from 3,414 participants, it examines the average usage time and time-based patterns of seven media types: TV, radio, YouTube, phone calls, text/email, social media, and games. It also explores differences in media usage between weekdays and weekends and variations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and income. Additionally, the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media usage on the percep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 findings reveal that TV accounted for the largest share of media usage, while the high usage of phone calls and text/email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social interaction. Media use for social interaction was more prominent on weekdays, whereas TV viewing increased on weekends. Digital media usage varied significantly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raditional and digital media had distinct effects on digital transformation awareness. This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media usage patterns among older adults and underscores the need for policy measures to bridge the digital divide in this age group. KCI Citation Count: 0
This study analyzes media usage among adults aged 60 and older using media diary data from the 2023 Korean Media Panel Survey. Based on 10,242 records from 3,414 participants, it examines the average usage time and time-based patterns of seven media types: TV, radio, YouTube, phone calls, text/email, social media, and games. It also explores differences in media usage between weekdays and weekends and variations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and income. Additionally, the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media usage on the percep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 findings reveal that TV accounted for the largest share of media usage, while the high usage of phone calls and text/email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social interaction. Media use for social interaction was more prominent on weekdays, whereas TV viewing increased on weekends. Digital media usage varied significantly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raditional and digital media had distinct effects on digital transformation awareness. This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media usage patterns among older adults and underscores the need for policy measures to bridge the digital divide in this age group. 본 연구는 60세 이상 노인의 미디어 이용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2023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의 미디어 다이어리를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60세 이상 3,414명이 3일간 기록한 총 10,242건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TV, 라디오, 유튜브, 통화, 문자/메일, 소셜미디어, 게임 등 7가지 미디어의 평균 이용 시간과 시간대별 이용 패턴을 분석하였다. 또한, 주중과 주말의 미디어 이용 시간 차이와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미디어 이용 시간의 차이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7가지 미디어 이용 시간이 디지털전환 체감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의 미디어 이용에서 TV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통화와 문자/메일의 높은 사용량은 노인들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주중에는 통화와 문자/메일 등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미디어 이용이 두드러졌고, 주말에는 TV 시청이 크게 증가하였다.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분석에서는 성별, 연령, 교육 수준, 소득 수준에 따라 디지털 미디어 이용에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전통적 미디어 및 디지털 미디어의 이용이 노인층의 디지털전환 체감정도에 미치는 영향은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본 연구는 노인의 미디어 이용을 다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통찰을 제공하며, 노인 세대 내 디지털 격차를 확인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본 연구는 60세 이상 노인의 미디어 이용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2023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의 미디어 다이어리 를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60세 이상 3,414명이 3일간 기록한 총 10,242건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TV, 라디오, 유튜 브, 통화, 문자/메일, 소셜미디어, 게임 등 7가지 미디어의 평균 이용 시간과 시간대별 이용 패턴을 분석하였다. 또한, 주중과 주말의 미디어 이용 시간 차이와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미디어 이용 시간의 차이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7가지 미디어 이용 시간이 디지털전환 체감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의 미디어 이용에서 TV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통화와 문자/메일의 높은 사용량은 노인들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주중에는 통화와 문자/메일 등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미디어 이용이 두드러졌고, 주말에는 TV 시청이 크게 증가하였다.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분석에서는 성별, 연령, 교육 수준, 소득 수준에 따라 디지털 미디어 이용에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전통적 미디어 및 디지털 미디어의 이용이 노인층의 디지털전환 체감정도에 미치는 영향 은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본 연구는 노인의 미디어 이용을 다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통찰을 제공하며, 노인 세대 내 디지털 격차를 확인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Author 김민정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김민정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77474$$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pNkM1Kw0AUhQdRsNY-gSDZuBEaJ_OTmbirxZ_UQkG7HyfJREJrK0k37lzElRsXpbRiwYUogqBokS58oiZ9B1MrIhw4l8t3zoW7AhZb7ZYCYM2AOkPY3KrY9k5ZRxBRPZOhG9RaADmEuFWEiJiLfzPmy6AQRYEDMTQsYhIzB06Sq3E6zNTXktdx0u2mvZGWDkfp7fPk40ubLZ4up_E4vY-ng76Wvo8mbzda8hmn8VDb1rKr-F8wuX6YZXuj5PFFmw7uspZVsOTLZqQKv54Hx3u79fJBsVrbt8ulalFxjoqcK0ksU2GD-dhxHYu5vudRExIf-gwRl3LHp9igrscZtZQvseQISUa4w6SH82Bz3toKfdFwA9GWwY-ftkUjFKWjui0MaHLKLJTBG3O4EUSdQLS8qCkqpcPa7IWQYwoJJJzNuPU5p2TYCdymEudhcCbDC0HMDIT4G8voisI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JDI
ACYCR
DEWEY 004
DOI 10.7236/JIIBC.2025.25.1.159
DatabaseName e-article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Computer Science
DocumentTitleAlternate Analysis of the Elderly's Media Usage and Digital Transformation Perception: Utilizing the 2023 Media Diary
EISSN 2289-0246
EndPage 169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685792
JAKO202508350404872
465080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M1Z
.UV
JDI
ACYCR
ID FETCH-LOGICAL-e882-88ea496e317f3bcb97cfdd5604f0f724c58bf5315cd8759efa3a822a748b7ad3
ISSN 2289-0238
IngestDate Sat Jul 05 03:13:04 EDT 2025
Mon May 05 02:10:31 EDT 2025
Tue Apr 22 16:21:12 ED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true
Issue 1
Keywords 미디어 다이어리
Elderly Media Usage
노인의 미디어 이용
Percep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Media Diary
디지털전환 체감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882-88ea496e317f3bcb97cfdd5604f0f724c58bf5315cd8759efa3a822a748b7ad3
Notes KISTI1.1003/JNL.JAKO202508350404872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508350404872&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11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685792
kisti_ndsl_JAKO202508350404872
earticle_primary_465080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50228
PublicationDateYYYYMMDD 2025-02-28
PublicationDate_xml – month: 02
  year: 2025
  text: 20250228
  day: 28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PublicationTitleAlternate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PublicationYear 2025
Publisher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SSID ssib030194646
ssib053377388
ssib023738960
ssib044745939
ssib021620247
ssib036278198
Score 2.3005161
Snippet 본 연구는 60세 이상 노인의 미디어 이용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2023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의 미디어 다이어리 를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60세 이상 3,414명이 3일간 기록한 총 10,242건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TV, 라디오, 유튜 브, 통화, 문자/메일, 소셜미디어, 게임...
This study analyzes media usage among adults aged 60 and older using media diary data from the 2023 Korean Media Panel Survey. Based on 10,242 records from...
본 연구는 60세 이상 노인의 미디어 이용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2023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의 미디어 다이어리를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60세 이상 3,414명이 3일간 기록한 총 10,242건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TV, 라디오, 유튜브, 통화, 문자/메일, 소셜미디어, 게임 등...
SourceID nrf
kisti
earticle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159
SubjectTerms 컴퓨터학
TableOfContents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1. 미디어 다이어리 관련 연구 2. 노인의 미디어 사용 관련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1. 미디어 이용 시간 분석 2. 시간 단위별 미디어 이용 패턴 3. 주중/주말 미디어 이용 시간 비교 4.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미디어 이용 시간 비교 5. 미디어 이용 시간이 디지털전환 체감정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Ⅴ. 결론 References
Title 노인의 미디어 이용과 디지털전환 체감 분석 : 2023 미디어 다이어리 활용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465080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508350404872&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77474
Volume 25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2025, 25(1), , pp.159-169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vR1Na9RAdKj14kUUv-pHCeicll2T7GQ-vCXplrZSPViht5Bkk1IqW6ntxYN4WE9ePJTSigUPogiCoov04M1_003_g-_NZHfTUrR6EEIY3sy8ee_NTN57YeY9Qm5JniSecFQdtHleZ3Gc12XqJPVMtb3Yk1jGy8nz9_jMQza36C2OnfpZObW0sZ400qfH3iv5l1kFGMwr3pL9i5kdIgUAlGF-4Q0zDO8TzTFtBVR6NJC0FVI1NSooWcM6f1qDAqoYPljHacBqg-YG5FNf0ZZPgyYNwtqh5r7AkxCtKSpZidy3sQwQpcwoIQ1cjQkQ4KEJjSDgulWIbxio6dcwf_ofaAJeoJodJo7rAsA59ZE4M3A4JLxqXOtaT9cCMR71pypyMTzYehgoCE2mrVkHMgG7o9tw7IiQAFktESpd8Kk04kGRh5qocCAVLSdYrZjlSTqV3yuaFKWlaHgPSymapJ-DHy5u9QI7bpH_wMtIB7gunmhzTQCcRlaFsareccqw6saEcUz2m6PaUbg6fc_c7GwQNpCzBjxOY9i3Gov8iI1wKBr5SrocLa1GK2sR-FyzkWNz6QkFdtBpV3COaUTmn7UGH3XX4TDUyGd1MZSWGvnkoGAUq8S4A4NKgJU6VAqMCeapUehacE8EYNCZJgfCMdHEkL3bxzCHZma5RcEDRbdsGQzJzlpeMSQXzpGzpQdo-abteTK2snqBRP0Xe8UuPNtW__Nef3Oz2OpZxW6veP1x_9sPCwEfnh9094q33YOdbav42tv_8srqf-8W3d07Fm6uSr_-y3fYdavXf__JOth5A0gukgfTrYVwpl7mPqln6PNKmcVM8Qys-7yZpIkSad5ug3fCcjsXLks9meSgPjG0h_BUlsfNGEz9WDCZiLjdvETGO6ud7AqxcsflObgJaY6x7cD4ZDJNlZ0o1nRTW7UnyOWBdKLHJsBNxNBtsyfIpBZW1Gk_eRTN-Xfvo1jRZQPFz6RwJ8hNkKJeDr9ZFldP1OoaOTPaa9fJ-PraRnYDzP31ZFIvp1-5rchk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85%B8%EC%9D%B8%EC%9D%98+%EB%AF%B8%EB%94%94%EC%96%B4+%EC%9D%B4%EC%9A%A9%EA%B3%BC+%EB%94%94%EC%A7%80%ED%84%B8%EC%A0%84%ED%99%98+%EC%B2%B4%EA%B0%90+%EB%B6%84%EC%84%9D%3A+2023+%EB%AF%B8%EB%94%94%EC%96%B4+%EB%8B%A4%EC%9D%B4%EC%96%B4%EB%A6%AC+%ED%99%9C%EC%9A%A9&rft.jtitle=%ED%95%9C%EA%B5%AD%EC%9D%B8%ED%84%B0%EB%84%B7%EB%B0%A9%EC%86%A1%ED%86%B5%EC%8B%A0%ED%95%99%ED%9A%8C+%EB%85%BC%EB%AC%B8%EC%A7%80%2C+25%281%29&rft.au=%EA%B9%80%EB%AF%BC%EC%A0%95&rft.date=2025-02-28&rft.pub=%ED%95%9C%EA%B5%AD%EC%9D%B8%ED%84%B0%EB%84%B7%EB%B0%A9%EC%86%A1%ED%86%B5%EC%8B%A0%ED%95%99%ED%9A%8C&rft.issn=2289-0238&rft.eissn=2289-0246&rft.spage=159&rft.epage=169&rft_id=info:doi/10.7236%2FJIIBC.2025.25.1.159&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685792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289-0238&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289-0238&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289-0238&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