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의 미디어 이용과 디지털전환 체감 분석 : 2023 미디어 다이어리 활용
본 연구는 60세 이상 노인의 미디어 이용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2023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의 미디어 다이어리 를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60세 이상 3,414명이 3일간 기록한 총 10,242건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TV, 라디오, 유튜 브, 통화, 문자/메일, 소셜미디어, 게임 등 7가지 미디어의 평균 이용 시간과 시간대별 이용 패턴을 분석하였다. 또한, 주중과 주말의 미디어 이용 시간 차이와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미디어 이용 시간의 차이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7가지 미디어 이용 시간이 디지털전환 체감정도에 미치는 영향...
Saved in:
Published i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Vol. 25; no. 1; pp. 159 - 169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8.02.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89-0238 2289-0246 |
DOI | 10.7236/JIIBC.2025.25.1.159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60세 이상 노인의 미디어 이용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2023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의 미디어 다이어리 를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60세 이상 3,414명이 3일간 기록한 총 10,242건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TV, 라디오, 유튜 브, 통화, 문자/메일, 소셜미디어, 게임 등 7가지 미디어의 평균 이용 시간과 시간대별 이용 패턴을 분석하였다. 또한, 주중과 주말의 미디어 이용 시간 차이와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미디어 이용 시간의 차이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7가지 미디어 이용 시간이 디지털전환 체감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의 미디어 이용에서 TV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통화와 문자/메일의 높은 사용량은 노인들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주중에는 통화와 문자/메일 등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미디어 이용이 두드러졌고, 주말에는 TV 시청이 크게 증가하였다.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분석에서는 성별, 연령, 교육 수준, 소득 수준에 따라 디지털 미디어 이용에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전통적 미디어 및 디지털 미디어의 이용이 노인층의 디지털전환 체감정도에 미치는 영향 은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본 연구는 노인의 미디어 이용을 다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통찰을 제공하며, 노인 세대 내 디지털 격차를 확인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508350404872 |
ISSN: | 2289-0238 2289-0246 |
DOI: | 10.7236/JIIBC.2025.25.1.1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