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정신간호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 효과 - 학습동기, 학습자기효능감, 학습만족도, 전이동기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정신시뮬레이션 실습교육 효과를 검증하기 위 해 시도 되었다. 본 연구는 단일군 사전·사후설계 연구이며 자료수집은 J소재 일개 대학 간호학과 학생 95명에게 구 조화된 설문지를 제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7.0 progra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표준화 환 자를 활용한 정신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학습동기(t=-2.011, p=.046), 학습자기효능감(t =-2.225, p=.027)과 학습만족도(t=-3.428, p=.00...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9; no. 4; pp. 259 - 268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01.07.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384-0358 2384-0366 |
Cover
Summary: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정신시뮬레이션 실습교육 효과를 검증하기 위 해 시도 되었다. 본 연구는 단일군 사전·사후설계 연구이며 자료수집은 J소재 일개 대학 간호학과 학생 95명에게 구 조화된 설문지를 제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7.0 progra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표준화 환 자를 활용한 정신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학습동기(t=-2.011, p=.046), 학습자기효능감(t =-2.225, p=.027)과 학습만족도(t=-3.428, p=.001), 전이동기(t=-2.628, p=.009)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또한 자가 평가 내용을 텍스트 마이닝으로 분석한 결과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정신 시뮬레이션 실습 교 육과 관련된 단어는 상황, 경험, 연기, 의사소통, 시나리오, 정신간호 임상실습 등이 있으며, 만족도와 관련된 단어는 실제, 도움, 반응, 이해, 다양 등이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실제 상황과 유사한 환경을 구현하였고 다양한 사례를 적용한 정 신시뮬레이션 실습 교육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실습 교육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현장 적응 능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적극 활용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322957812425 http://www.ipact.kr/eng/iconf/jcct/sub05.php |
ISSN: | 2384-0358 2384-036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