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집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비형식적 통계적 추리의 교수-학습 :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의 관점에 따른 분석
본 연구에서는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에 기반하여, 표집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비형식적 통계적 추리 의 교수학습 과정을 활동체계로 고려하고, 이러한 활동체계에서 발생하는 모순과 모순에 의한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5∼6학년 20명을 대상으로 표집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비형식 적 통계적 추리에 대한 수업을 진행하고 활동체계를 분석하였다. 주제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 다. 먼저, 규칙과 목표, 인공물과 목표 사이의 모순이 발생했으며,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경험적 표집 분포의 시각화라는 새로운 인공물이 도입되는 것...
        Saved in:
      
    
          | Published in |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 26; no. 1; pp. 21 - 47 |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학교수학회
    
        31.03.2023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229-0890 2713-4350  | 
| DOI | 10.30807/ksms.2023.26.1.002 | 
Cover
|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에 기반하여, 표집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비형식적 통계적 추리 의 교수학습 과정을 활동체계로 고려하고, 이러한 활동체계에서 발생하는 모순과 모순에 의한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5∼6학년 20명을 대상으로 표집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비형식 적 통계적 추리에 대한 수업을 진행하고 활동체계를 분석하였다. 주제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 다. 먼저, 규칙과 목표, 인공물과 목표 사이의 모순이 발생했으며,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경험적 표집 분포의 시각화라는 새로운 인공물이 도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규칙과 인공물, 규칙과 주 체 사이의 모순이 발생했으며,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표본 평균들의 평균을 구하는 알고리즘이 새로 운 규칙으로 도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317043204341 | 
| ISSN: | 1229-0890 2713-4350  | 
| DOI: | 10.30807/ksms.2023.26.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