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흡입형 감지기 적용에 따른 원자력발전소 화재진압실패확률 저감에 관한 연구
연구목적: 본 연구는 화재 CDF 저감을 위해 NSP(화재진압실패확률)을 저감하기 위한 방법으로 개발된 공기흡입형 감지기를 통해 화재 감지 실패 확률을 계산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NUREG-2180에서 제시 한 바와 같이 공기흡입형 감지기의 대해 적용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으며 Unreliability, Unavailability의 계산과정을 통해 400대의 현장 설치 결과를 계산하였다. 연구결과: 개발된 공기흡입형 감지기의 화재 감지 실패확률은 0.0028로 기존 연기감지기 감지 실패확률 0.05의 46% 저감을 할 수 있음을 확...
        Saved in:
      
    
          | Published i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21(3) Vol. 21; no. 3; pp. 501 - 506 |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재난정보학회
    
        30.09.2025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976-2208 2671-5287  | 
Cover
| Summary: | 연구목적: 본 연구는 화재 CDF 저감을 위해 NSP(화재진압실패확률)을 저감하기 위한 방법으로 개발된 공기흡입형 감지기를 통해 화재 감지 실패 확률을 계산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NUREG-2180에서 제시 한 바와 같이 공기흡입형 감지기의 대해 적용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으며 Unreliability, Unavailability의 계산과정을 통해 400대의 현장 설치 결과를 계산하였다. 연구결과: 개발된 공기흡입형 감지기의 화재 감지 실패확률은 0.0028로 기존 연기감지기 감지 실패확률 0.05의 46% 저감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 다. 결론: 최종적으로 CDF 저감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케비닛 화재, 케이블 화재에 영 향을 고려하는 심각도와 복합적인 연구를 통해 새로운 방법이 제시될 것으로 기대된다. |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529039646354 | 
| ISSN: | 1976-2208 2671-528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