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가격에 대한 금리의 시간가변적인 예측력 연구

금리는 주택의 매입여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시장 참여자가 대출에 기반하여 주택을 매입하는 사람이 늘어날수 록 금리의 주택시장 영향력을 강화될 수 있다. 실제 기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주택시장은 점점 금리의 영향력이 강화되고 있음을 지적한 바 있다. 그러나 금리의 주택가격에 예측력은 일부 연구에서 진행이 되었고, 특히 시간가변 적인 예측력은 충분히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2014년 1월부터 2023년 12월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여 동태적 모형 평균법을 적용하여 주택가격에 대한 금리의 시간가변적인 예측력을 추정하였다. 특히, 기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11; no. 2; pp. 235 - 242
Main Authors 박진백, 정수영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국제문화기술진흥원 01.03.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0358
2384-036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금리는 주택의 매입여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시장 참여자가 대출에 기반하여 주택을 매입하는 사람이 늘어날수 록 금리의 주택시장 영향력을 강화될 수 있다. 실제 기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주택시장은 점점 금리의 영향력이 강화되고 있음을 지적한 바 있다. 그러나 금리의 주택가격에 예측력은 일부 연구에서 진행이 되었고, 특히 시간가변 적인 예측력은 충분히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2014년 1월부터 2023년 12월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여 동태적 모형 평균법을 적용하여 주택가격에 대한 금리의 시간가변적인 예측력을 추정하였다. 특히, 기존 연구에서 시도되지 않았 던 방식으로 각 분석 시점별 24개월 이내의 모든 미래에 대한 예측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17년 이전에는 금 리의 주택가격 예측력이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2017년 이후 유의미하게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금리 시기 에는 금리의 예측력이 중장기적으로 지속되는 반면, 고금리 시기에는 단기적인 예측력이 뚜렷하게 강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시장 환경에 따라 금리의 예측력이 차별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정책당국과 시장 참여자는 이를 고려하여 대응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510750408932
ISSN:2384-0358
2384-0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