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 중등 지구과학 교사의 야외 지질 답사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생소한 경험 공간(Novelty Space)’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예비 중등 지구과학 교사들의 야외 지질 답사 경험을 생소한 경험 공간의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그 의미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를 위해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지질 답사 전- 후 생소한 경험 공간의 변화 정도를 측정하여 변화 폭 이 큰 예비 중등 지구과학 교사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설문지와 심층 인터뷰 결과를 중 심 자료로 수집하였으며, 사전 안내 자료, 필드 노트, 답사 후 발표 자료를 보조 자료로 활용하였다. 자료 분 석은 Creswell(2012)이 제안한 사례 연구 절차...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 18; no. 1; pp. 103 - 123
Main Authors 노자헌, 김성실, 김종희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31.03.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05-5668
2289-038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예비 중등 지구과학 교사들의 야외 지질 답사 경험을 생소한 경험 공간의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그 의미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를 위해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지질 답사 전- 후 생소한 경험 공간의 변화 정도를 측정하여 변화 폭 이 큰 예비 중등 지구과학 교사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설문지와 심층 인터뷰 결과를 중 심 자료로 수집하였으며, 사전 안내 자료, 필드 노트, 답사 후 발표 자료를 보조 자료로 활용하였다. 자료 분 석은 Creswell(2012)이 제안한 사례 연구 절차에 따라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 해 매트릭스 분석(matrix analysis) 방법을 적용하였다. 사례 내 분석 결과, 예비 중등 지구과학 교사들은 기존 개념과 실제 환경 간의 차이를 경험하며 개념을 수정· 확장하는 과정, 실제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 탐구 학습 과 협력 학습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과정, 그리고 심리 적 장벽을 극복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례 간 분석을 통해서는 ‘교실 이론 vs 현장 관찰: 개념 확장과 재구성’, ‘야외 환경에서의 학습 적응력과 공간적 사고 향상’, ‘탐구 학습 및 협력 학습의 중요성 인식’, ‘심리적 장벽 극복과 학습 태도의 변화’라는 네 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답사 초기 단계에서의 정서적 안정과 관계 형성을 위한 활 동, 야외 환경에 대한 사전 이해와 실질적인 대비 활 동, 자기주도적 탐구를 촉진할 수 있도록 준비 단계-야 외답사-정리 단계로 이어지는 단계별 학습 구조가 필 요함을 제언하였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512236003340
ISSN:2005-5668
2289-0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