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증 과정을 강조한 탐구 수업이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논증 과정을 강조한 탐구 수업을 개발하고 학생들의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논증 과정을 강조한 탐구 수업 절차와 주제를 개발하고, 고등학교 2학년 35명을 대상으로 약 한 달간 논증 과정을 강조 한 탐구 수업을 실행하였다. 탐구 수업의 효과를 확인 하기 위해 수업 전·후 실시한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검사 결과를 대응 표본 t 검정 방법으로 분석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논증 과정을 강조한 탐구 수업의 절차는 문제 인식-근 거 마련...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 17; no. 3; pp. 194 - 207
Main Authors 최유미, 노자헌, 김종희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30.12.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05-5668
2289-038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의 목적은 논증 과정을 강조한 탐구 수업을 개발하고 학생들의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논증 과정을 강조한 탐구 수업 절차와 주제를 개발하고, 고등학교 2학년 35명을 대상으로 약 한 달간 논증 과정을 강조 한 탐구 수업을 실행하였다. 탐구 수업의 효과를 확인 하기 위해 수업 전·후 실시한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검사 결과를 대응 표본 t 검정 방법으로 분석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논증 과정을 강조한 탐구 수업의 절차는 문제 인식-근 거 마련-주장의 정당화로 구성되어 있으며, 탐구 수업 의 주제는 지구과학과 관련된 ‘스펙트럼을 관찰하여 별의 대기 성분을 알아낼 수 있을까?’, ‘태풍은 해수의 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이다. 둘째, 탐구 수업 적 용 후 학생들의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학생들의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유형별·형태별로 구분했을 때, 과학적 주장형과 글과 표에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 으로 과학적 의사소통의 유형과 형태가 상호작용하는 탐구 수업을 설계해야 함, 학생들의 논증 과정을 미시적으로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405954720912
ISSN:2005-5668
2289-0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