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의 일하는 방식 혁신에 관한 연구

본 연구에서는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정부 혁신의 중요한 내용의 하나인 일하는 방식 혁신의 주요 전략 및 내용을 살펴보고, 특정 지자체의 사례를 중심으로 일하는 방식 혁신의 내용 및 성공요인을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 에서는 업무간소화를 통해 일하는 방식을 혁신한 사례를 분석하고 있는데 연구대상이 된 지방자치단체는 2019년 행정 안전부의 정부혁신 평가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은 기관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심 층인터뷰를 진행하여 해당 기관의 업무간소화와 관련된 문제점 및 성과, 성공요인들을 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융복합연구 Vol. 18; no. 12; pp. 21 - 28
Main Authors 이향수, 이성훈, 정용훈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지털정책학회 31.12.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713-6434
2713-6442
DOI10.14400/JDC.2020.18.12.021

Cov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정부 혁신의 중요한 내용의 하나인 일하는 방식 혁신의 주요 전략 및 내용을 살펴보고, 특정 지자체의 사례를 중심으로 일하는 방식 혁신의 내용 및 성공요인을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 에서는 업무간소화를 통해 일하는 방식을 혁신한 사례를 분석하고 있는데 연구대상이 된 지방자치단체는 2019년 행정 안전부의 정부혁신 평가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은 기관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심 층인터뷰를 진행하여 해당 기관의 업무간소화와 관련된 문제점 및 성과, 성공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업무간소화를 성공 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첫째, 조직구성원들의 변화에의 동참을 유도할 수 있도록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 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업무간소화라는 혁신 프로젝트에 조직구성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인사가 점 등의 인센티브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조직의 변화를 유도하고 지원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중간관리자 및 최고관리자의 관심과 지원이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향후 공공부문의 일하는 방식 혁신을 위한 정책마련에 일조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AbstractList 본 연구에서는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정부 혁신의 중요한 내용의 하나인 일하는 방식 혁신의 주요 전략 및 내용을 살펴보고, 특정 지자체의 사례를 중심으로 일하는 방식 혁신의 내용 및 성공요인을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업무간소화를 통해 일하는 방식을 혁신한 사례를 분석하고 있는데 연구대상이 된 지방자치단체는 2019년 행정안전부의 정부혁신 평가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은 기관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해당 기관의 업무간소화와 관련된 문제점 및 성과, 성공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업무간소화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첫째, 조직구성원들의 변화에의 동참을 유도할 수 있도록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업무간소화라는 혁신 프로젝트에 조직구성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인사가점 등의 인센티브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조직의 변화를 유도하고 지원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중간관리자 및 최고관리자의 관심과 지원이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향후 공공부문의 일하는 방식 혁신을 위한 정책마련에 일조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main strategies and contents of the work style innovation promoted by the Moon Jae-in government, and analyzed the contents and success factors of the work innovation based on the case of a specific local government.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s the case of innovation in the way of working through simplification of work, and the local governments, which were the subject of the study, received excellent evaluation in the government innovation evaluation of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in 2019. In this study,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employees of local governments to examine the problems, achievements, and success factors related to business simplification. First, it was found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form consensus so that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can participate in the change in order to simplify the task. Second, incentives, such as HR, were needed to induce active participation of members in the innovation project called Simplification of Work. Third, in order to induce and support organizational change, it was found that the interest and support of middle managers and director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to prepare the policy for innovation in the public sector's working style. KCI Citation Count: 3
본 연구에서는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정부 혁신의 중요한 내용의 하나인 일하는 방식 혁신의 주요 전략 및 내용을 살펴보고, 특정 지자체의 사례를 중심으로 일하는 방식 혁신의 내용 및 성공요인을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 에서는 업무간소화를 통해 일하는 방식을 혁신한 사례를 분석하고 있는데 연구대상이 된 지방자치단체는 2019년 행정 안전부의 정부혁신 평가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은 기관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심 층인터뷰를 진행하여 해당 기관의 업무간소화와 관련된 문제점 및 성과, 성공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업무간소화를 성공 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첫째, 조직구성원들의 변화에의 동참을 유도할 수 있도록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 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업무간소화라는 혁신 프로젝트에 조직구성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인사가 점 등의 인센티브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조직의 변화를 유도하고 지원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중간관리자 및 최고관리자의 관심과 지원이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향후 공공부문의 일하는 방식 혁신을 위한 정책마련에 일조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main strategies and contents of the work style innovation promoted by the Moon Jae-in government, and analyzed the contents and success factors of the work innovation based on the case of a specific local government.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s the case of innovation in the way of working through simplification of work, and the local governments, which were the subject of the study, received excellent evaluation in the government innovation evaluation of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in 2019. In this study,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employees of local governments to examine the problems, achievements, and success factors related to business simplification. First, it was found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form consensus so that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can participate in the change in order to simplify the task. Second, incentives, such as HR, were needed to induce active participation of members in the innovation project called Simplification of Work. Third, in order to induce and support organizational change, it was found that the interest and support of middle managers and director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to prepare the policy for innovation in the public sector's working style. 본 연구에서는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정부 혁신의 중요한 내용의 하나인 일하는 방식 혁신의 주요 전략 및 내용을 살펴보고, 특정 지자체의 사례를 중심으로 일하는 방식 혁신의 내용 및 성공요인을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업무간소화를 통해 일하는 방식을 혁신한 사례를 분석하고 있는데 연구대상이 된 지방자치단체는 2019년 행정안전부의 정부혁신 평가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은 기관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해당 기관의 업무간소화와 관련된 문제점 및 성과, 성공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업무간소화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첫째, 조직구성원들의 변화에의 동참을 유도할 수 있도록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업무간소화라는 혁신 프로젝트에 조직구성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인사가점 등의 인센티브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조직의 변화를 유도하고 지원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중간관리자 및 최고관리자의 관심과 지원이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향후 공공부문의 일하는 방식 혁신을 위한 정책마련에 일조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Author 이향수
정용훈
이성훈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이향수
– sequence: 2
  fullname: 이성훈
– sequence: 3
  fullname: 정용훈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60451$$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kE9LAkEAxYcwyMxPEMReOnTYbf7u7F4CsX-aIIT3YcbZjUVbY9dLN7vmxUPiHjK6VdBBwg5Bn0jH75BmdHrv8X68w9sGubgTBwDsIuggSiE8rB6XHQzxMnoOwg7EaAPkMUfEdinFuX9P6BYopmmkIMUQeT5GeXBkXnrzyZt5GpivbN5_NR9TM84sM_5eDLP5_YO1Kvtja5Hdmf6zGQ2s2bS3GD5aZjSZfb7vgM1QttOg-KcF0Dg9aZTP7Vr9rFIu1ezA474d6pC7SkusmPQRhU1GCJVIIkQxQ9z3GdMu41oqihAhSmmkNNWcKxxgj0JSAAfr2TgJRasZiY6MfvWqI1qJKF02KsJ3MefYX7L7a7YVpd1IxDpti2rpor56CHqMQuZBSMmS21tzgUy6UbMdiJskupbJrSAehxSRH2lCdgc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JDI
ACYCR
DEWEY 620
DOI 10.14400/JDC.2020.18.12.021
DatabaseName e-article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Engineering
DocumentTitleAlternate Research on Innovation in the Way of Working of Local Governments
EISSN 2713-6442
EndPage 28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9627729
JAKO202008540580043
387041
GroupedDBID .UV
ALMA_UNASSIGNED_HOLDINGS
M1Z
JDI
ACYCR
ID FETCH-LOGICAL-e879-fdf76bda2b5a9140c5334a1a11425179955d657dab41133bbd1bd4d77b2e28403
ISSN 2713-6434
IngestDate Sun Jun 08 03:20:15 EDT 2025
Fri Dec 22 12:02:12 EST 2023
Mon Sep 08 16:22:29 ED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12
Keywords Local Government
Innovation in the Way of Working
Consensus Formation
업무간소화
일하는 방식의 혁신
공감대형성
Reward System
기관장의 관심
Manager's Attention
보상체계
Simplification of Work
지방자치단체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879-fdf76bda2b5a9140c5334a1a11425179955d657dab41133bbd1bd4d77b2e28403
Notes KISTI1.1003/JNL.JAKO202008540580043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008540580043&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8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9627729
kisti_ndsl_JAKO202008540580043
earticle_primary_387041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01231
PublicationDateYYYYMMDD 2020-12-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2
  year: 2020
  text: 202012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디지털융복합연구
PublicationTitleAlternat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PublicationYear 2020
Publisher 한국디지털정책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디지털정책학회
SSID ssib042018921
ssib046774051
ssib053377220
Score 1.7585794
Snippet 본 연구에서는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정부 혁신의 중요한 내용의 하나인 일하는 방식 혁신의 주요 전략 및 내용을 살펴보고, 특정 지자체의 사례를 중심으로...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main strategies and contents of the work style innovation promoted by the Moon Jae-in government, and analyzed the contents and...
SourceID nrf
kisti
earticle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21
SubjectTerms 과학기술학
TableOfContents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일하는 방식 혁신의 개념적 논의 2.1 일하는 방식 혁신의 의의 및 필요성 2.2 문재인 정부 일하는 방식 혁신의 추진방향 3. 연구 내용 및 방법 3.1 연구 내용 3.2 연구 방법 4. B시청의 일하는 방식혁신 사례분석 4.1 업무간소화를 통한 일하는 방식 혁신 5. 일하는 방식 혁신의 성공요인 5.1 직원들의 참여 유도를 위한 공감대형성 5.2 혁신참여에 대한 보상체계 제공 5.3 중간관리자 및 기관장의 관심 6. 결론 REFERENCES
Title 지방자치단체의 일하는 방식 혁신에 관한 연구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387041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008540580043&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60451
Volume 18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디지털융복합연구, 2020, 18(12), , pp.21-28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EBS
  databaseName: EBSCOhost Business Source Ultimate
  customDbUrl:
  eissn: 2713-6442
  dateEnd: 99991231
  omitProxy: false
  ssIdentifier: ssib046774051
  issn: 2713-6434
  databaseCode: AKVCP
  dateStart: 201507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search.ebscohost.com/login.aspx?authtype=ip,uid&profile=ehost&defaultdb=bsu
  providerName: EBSCOhost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1Lb9QwELba7QUOiDflUUUIn1ZZkqydxBekJLuotOJxKKi3KF4nVSnaRW33AKdypZceqLoHirgBEocKlQMSv6hN_wMz3mSbPhAPaZX12uPxOGPZ33g9Y0LuYBinTseRpmOnlskkGChJmnBTMCVZomzhKfQdfvjInX7KZub5_Nh4o3Jqqb8qG53Xp_qV_I9WIQ_0il6y_6DZEVPIgDToF56gYXj-lY5pO6KBh4cV2iENLRoIzBFtKixMhIIKH4v8kAa-znFoyDRNC4rqRSqMaBt-85I6oILVj7AEBqJV11Q-YM8iK9CtCA-ag7IAWaMoQ1ZRvSgEJljGaRHl8XkpO_Bk-DnsRIv6jIZaUhFhFZShqROaadG_kzxhxJR9YZrWpQHXUvpU-KeQRLolW9NCj4-QQLeEriwC3eIxkuLo0vSrpLuw0utVt00cqwzOWM6uDljnJsCx4W5GWs1jv1ke-qMj3-VkX4ENQxf3EwsSY8PLtltRA6Vo2L7efS6rVsN_H1uWR4clZ4LZx1gXwDGgax__ux0nE47nuk6NTASzz6In5QzKAM75lQB3sAp6rBKADbA9WFM6Vumo_0UoLhT07kkxEaMV4xvMN7RpFgGFdZezCgqbO0_OFeaTEQxpL5Cxpd5FcrYSVPMSuZd_Wtvf-ZJ_2Mh_DPbXP-ffdvPtgZFv_zzYHOy_fWdg4fq2cTB4k69_zLc2jL3dtYPN90a-tbP3_etlMne_PRdNm8UtIWbqe8LMVOa5UiWO5ImwmdVB3_LETtBHnOtwh1y5HGYcyWy72ZRS2VIx5XnSSQGaWc0rpNbtddNrxGhaqZ9KzhOVZoxxlTCVuQwQOM9gOnOzSXK1fBfxy2EsmLgJ6x2zJ8mUfjVxV628iE9R2CS5De8sXuosxhjPHb8XevHScgxW64MYL8ACI_f6n7jcIGcOh_JNUltd7qe3ABOvyqliIPwCxkWQWA
linkProvider EBSCOhost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A7%80%EB%B0%A9%EC%9E%90%EC%B9%98%EB%8B%A8%EC%B2%B4%EC%9D%98+%EC%9D%BC%ED%95%98%EB%8A%94+%EB%B0%A9%EC%8B%9D+%ED%98%81%EC%8B%A0%EC%97%90+%EA%B4%80%ED%95%9C+%EC%97%B0%EA%B5%AC&rft.jtitle=%EB%94%94%EC%A7%80%ED%84%B8%EC%9C%B5%EB%B3%B5%ED%95%A9%EC%97%B0%EA%B5%AC&rft.au=%EC%9D%B4%ED%96%A5%EC%88%98&rft.au=%EC%9D%B4%EC%84%B1%ED%9B%88&rft.au=%EC%A0%95%EC%9A%A9%ED%9B%88&rft.au=Lee%2C+Hyangsoo&rft.date=2020-12-31&rft.issn=2713-6434&rft.eissn=2713-6442&rft.volume=18&rft.issue=12&rft.spage=21&rft.epage=28&rft_id=info:doi/10.14400%2FJDC.2020.18.12.021&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JAKO202008540580043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713-6434&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713-6434&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713-6434&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