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역사내 승객보행흐름 분석모형 - 교통카드자료를 활용하여
교통카드를 이용하는 승객의 지하철역사내에서 보행이동은 직승직하, 노선환승, 역사환승 3가지로 구분된다. 직승직하는 단말기노선과 열차노선이 동일한 상황에서 나타나는 통행을 의 미한다. 직승은 출발역에서 직하는 도착역에서 각각 나타난다. 노선환승은 승객이 하차 및 승 차한 열차노선이 다른 상황에서 발생한다. 노선환승은 출발역과 도착역이 아닌 중간역의 환승 보행통행이다. 역사환승은 단말기노선과 열차노선이 다른 경우 나타난다. 역사환승은 출발역 에서 출발환승과 도착역에서 도착환승으로 나타난다. 수도권 교통카드는 출발역 및 도착역 단 말기노...
Saved in:
Published in | 韓國ITS學會 論文誌 Vol. 17; no. 6; pp. 14 - 24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ITS학회
31.12.201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0774 2384-1729 |
DOI | 10.12815/kits.2018.17.6.14 |
Cover
Abstract | 교통카드를 이용하는 승객의 지하철역사내에서 보행이동은 직승직하, 노선환승, 역사환승 3가지로 구분된다. 직승직하는 단말기노선과 열차노선이 동일한 상황에서 나타나는 통행을 의 미한다. 직승은 출발역에서 직하는 도착역에서 각각 나타난다. 노선환승은 승객이 하차 및 승 차한 열차노선이 다른 상황에서 발생한다. 노선환승은 출발역과 도착역이 아닌 중간역의 환승 보행통행이다. 역사환승은 단말기노선과 열차노선이 다른 경우 나타난다. 역사환승은 출발역 에서 출발환승과 도착역에서 도착환승으로 나타난다. 수도권 교통카드는 출발역 및 도착역 단 말기노선번호가 기록되나 열차노선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지하철역사를 보행하는 승객의 전체흐름을 분석하기 위해서 카드자료가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교통카드자료의 제한된 정보를 활용하여 지하철역사내 승객의 보행이동 분석모형 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출발역과 도착역을 연결하는 경로선택모형을 구축하여 열차노선을 분석하는 개념을 적용한다. 수도권지하철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시행하여 보행통행을 분석 한다. |
---|---|
AbstractList | Pedestrian movement of passengers using smart card within station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of activities - straight ride and alight, line transfer, and station transfer. Straight ride and alight is transfer activity for which the card terminal and embarking line are identical. In this case, straight ride occurs at the origin station and straight alight occurs at the destination station. Line transfer refers to activity in which the subway line embarked on by the passenger is different from that which is disembarked. Succinctly, line transfer is transfer at a middle station, rather than at origin or destination stations. Station transfer occurs when the card terminal line and embarking line are different. It appears when station transfer happens at the origin station as starting transfer, and at the destination station as destination transfer. In the case of Metropolitan smart card data, origin and destination station card terminal line number data is recorded, but subway line data does not exist. Consequently, transportation card data, as it exists, cannot adequately be used to analyze pedestrian movement as a whole in subway stations. This research uses the smart card data, with its constraints, to propose an analysis model for passenger pedestrian movement within subway stations. To achieve this, a path selection model is constructed, which links origin and destination stations, and then applied for analysis. Finally, a case study of the metropolitan subway is undertaken and pedestrian volume analyzed. 교통카드를 이용하는 승객의 지하철역사내에서 보행이동은 직승직하, 노선환승, 역사환승 3가지로 구분된다. 직승직하는 단말기노선과 열차노선이 동일한 상황에서 나타나는 통행을 의미한다. 직승은 출발역에서 직하는 도착역에서 각각 나타난다. 노선환승은 승객이 하차 및 승차한 열차노선이 다른 상황에서 발생한다. 노선환승은 출발역과 도착역이 아닌 중간역의 환승보행통행이다. 역사환승은 단말기노선과 열차노선이 다른 경우 나타난다. 역사환승은 출발역에서 출발환승과 도착역에서 도착환승으로 나타난다. 수도권 교통카드는 출발역 및 도착역 단말기노선번호가 기록되나 열차노선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지하철역사를 보행하는 승객의 전체흐름을 분석하기 위해서 카드자료가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교통카드자료의 제한된 정보를 활용하여 지하철역사내 승객의 보행이동 분석모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출발역과 도착역을 연결하는 경로선택모형을 구축하여 열차노선을 분석하는 개념을 적용한다. 수도권지하철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시행하여 보행통행을 분석한다. 교통카드를 이용하는 승객의 지하철역사내에서 보행이동은 직승직하, 노선환승, 역사환승3가지로 구분된다. 직승직하는 단말기노선과 열차노선이 동일한 상황에서 나타나는 통행을 의미한다. 직승은 출발역에서 직하는 도착역에서 각각 나타난다. 노선환승은 승객이 하차 및 승차한 열차노선이 다른 상황에서 발생한다. 노선환승은 출발역과 도착역이 아닌 중간역의 환승보행통행이다. 역사환승은 단말기노선과 열차노선이 다른 경우 나타난다. 역사환승은 출발역에서 출발환승과 도착역에서 도착환승으로 나타난다. 수도권 교통카드는 출발역 및 도착역 단말기노선번호가 기록되나 열차노선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지하철역사를 보행하는승객의 전체흐름을 분석하기 위해서 카드자료가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교통카드자료의 제한된 정보를 활용하여 지하철역사내 승객의 보행이동 분석모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출발역과 도착역을 연결하는 경로선택모형을 구축하여 열차노선을분석하는 개념을 적용한다. 수도권지하철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시행하여 보행통행을 분석한다. Pedestrian movement of passengers using smart card within station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of activities – straight ride and alight, line transfer, and station transfer. Straight ride and alight is transfer activity for which the card terminal and embarking line are identical. In this case, straight ride occurs at the origin station and straight alight occurs at the destination station. Line transfer refers to activity in which the subway line embarked on by the passenger is different from that which is disembarked. Succinctly, line transfer is transfer at a middle station, rather than at origin or destination stations. Station transfer occurs when the card terminal line and embarking line are different. It appears when station transfer happens at the origin station as starting transfer, and at the destination station as destination transfer. In the case of Metropolitan smart card data, origin and destination station card terminal line number data is recorded, but subway line data does not exist. Consequently, transportation card data, as it exists, cannot adequately be used to analyze pedestrian movement as a whole in subway stations. This research uses the smart card data, with its constraints, to propose an analysis model for passenger pedestrian movement within subway stations. To achieve this, a path selection model is constructed, which links origin and destination stations, and then applied for analysis. Finally, a case study of the metropolitan subway is undertaken and pedestrian volume analyzed. KCI Citation Count: 4 교통카드를 이용하는 승객의 지하철역사내에서 보행이동은 직승직하, 노선환승, 역사환승 3가지로 구분된다. 직승직하는 단말기노선과 열차노선이 동일한 상황에서 나타나는 통행을 의 미한다. 직승은 출발역에서 직하는 도착역에서 각각 나타난다. 노선환승은 승객이 하차 및 승 차한 열차노선이 다른 상황에서 발생한다. 노선환승은 출발역과 도착역이 아닌 중간역의 환승 보행통행이다. 역사환승은 단말기노선과 열차노선이 다른 경우 나타난다. 역사환승은 출발역 에서 출발환승과 도착역에서 도착환승으로 나타난다. 수도권 교통카드는 출발역 및 도착역 단 말기노선번호가 기록되나 열차노선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지하철역사를 보행하는 승객의 전체흐름을 분석하기 위해서 카드자료가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교통카드자료의 제한된 정보를 활용하여 지하철역사내 승객의 보행이동 분석모형 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출발역과 도착역을 연결하는 경로선택모형을 구축하여 열차노선을 분석하는 개념을 적용한다. 수도권지하철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시행하여 보행통행을 분석 한다. |
Author | 신성일 김부원 이미영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이미영 – sequence: 2 fullname: 신성일 – sequence: 3 fullname: 김부원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26365$$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ot0D1Lw0AAxvFDKlirX8BBsjg4JN5bc5exFF-qgiAFxyNpLhJaU0m6uIkUQXEoSG0VK4L4SgXRVij4iZrLd7C1Tv_lxzM8syAVVAMJwAKCBsIcZVfKfi0yMETcQMwwDUSnQBoTTnXEsJUCacQI1yFjdAbMR5HvQGJiZkGI02BPPR8nzbb6vFetd3XSjU96mjofDD868VcvuTpLOo34qa7F33VV78RvL0m7qenasN9ITvtq0Isvb9VdI364iB9_tOT6Vt28jtda3Tkw7dmVSM7_NwOKa6vF_Ia-vbNeyOe2dcmZpROKPVdyk7imKynEWDrSdCzbsT2PlSCXPOsyG3qSSSRdz5TcYphCB2PqcUgZyYDlyWwQeqJc8kXV9v-6XxXlUOR2iwVBLGpxbo3s0sSW_ajmi8CNKmIzt7UzPg5BZkJGCUTZkVucOGmHNb9UkeIw9A_s8EgQSrEJyS-V_olr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M1Z JDI ACYCR |
DEWEY | 388.3 |
DOI | 10.12815/kits.2018.17.6.14 |
DatabaseName | e-article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iscipline | Economics Journalism & Communications |
DocumentTitleAlternate | An Analysis Model on Passenger Pedestrian Flow within Subway Stations - Using Smart Card Data |
EISSN | 2384-1729 |
EndPage | 24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3949889 JAKO201810760743015 344260 |
GroupedDBID | M1Z .UV JDI ACYCR |
ID | FETCH-LOGICAL-e879-342fde863d6de4022ebe6b9abaff7c08e85d7a0fe7e1edf6e897240b224f80473 |
ISSN | 1738-0774 |
IngestDate | Sat Jul 13 03:11:41 EDT 2024 Fri Dec 22 12:02:12 EST 2023 Fri Jun 21 15:40:10 EDT 2024 |
IsDoiOpenAccess | true |
IsOpenAccess | true |
IsPeerReviewed | false |
IsScholarly | true |
Issue | 6 |
Keywords | 노선환승 Subway Station Station Transfer Passenger Walking Trip Straight Ride and Alight 직승직하 Line Transfer 역사환승 승객보행 Smart Card Data 교통카드자료 지하철역사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e879-342fde863d6de4022ebe6b9abaff7c08e85d7a0fe7e1edf6e897240b224f80473 |
Notes | KISTI1.1003/JNL.JAKO201810760743015 http://journal.kits.or.kr/ |
OpenAccessLink |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810760743015&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
PageCount | 11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3949889 kisti_ndsl_JAKO201810760743015 earticle_primary_344260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181231 |
PublicationDateYYYYMMDD | 2018-12-31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12 year: 2018 text: 20181231 day: 31 |
PublicationDecade | 2010 |
PublicationTitle | 韓國ITS學會 論文誌 |
PublicationTitleAlternate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
PublicationYear | 2018 |
Publisher | 한국ITS학회 |
Publisher_xml | – name: 한국ITS학회 |
SSID | ssib036279002 ssib053377138 ssib012146223 ssib023739049 ssib004698092 ssib008451679 ssib044738259 |
Score | 2.0672898 |
Snippet | 교통카드를 이용하는 승객의 지하철역사내에서 보행이동은 직승직하, 노선환승, 역사환승 3가지로 구분된다. 직승직하는 단말기노선과 열차노선이 동일한 상황에서 나타나는 통행을 의 미한다. 직승은 출발역에서 직하는 도착역에서 각각 나타난다. 노선환승은 승객이 하차 및 승 차한 열차노선이 다른... Pedestrian movement of passengers using smart card within station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of activities - straight ride and alight, line transfer, and... 교통카드를 이용하는 승객의 지하철역사내에서 보행이동은 직승직하, 노선환승, 역사환승3가지로 구분된다. 직승직하는 단말기노선과 열차노선이 동일한 상황에서 나타나는 통행을 의미한다. 직승은 출발역에서 직하는 도착역에서 각각 나타난다. 노선환승은 승객이 하차 및 승차한 열차노선이 다른... |
SourceID | nrf kisti earticle |
SourceType |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
StartPage | 14 |
SubjectTerms | 전자/정보통신공학 |
TableOfContents |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교통카드자료기반 지하철네트워크와 보행유형
1. 교통카드자료기반 지하철네트워크
2. 지하철 역사 보행유형
Ⅲ. 지하철 이용승객 보행유형 분석모형
1. 개요
2. 모형 및 알고리즘
Ⅳ. 사례연구
1. 개요
2. 결과분석
3. 직승직하보행
4. 역사환승보행
5. 노선환승보행
Ⅴ. 결론
REFERENCES |
Title | 지하철역사내 승객보행흐름 분석모형 - 교통카드자료를 활용하여 |
URI | https://www.earticle.net/Article/A344260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810760743015&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26365 |
Volume | 17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한국ITS학회 논문지, 2018, 17(6), 80, pp.14-24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da9RAEA-1PuiLaP2q1RLE9eXImVw-dvcxucvRVqoPnti3kLvbk-P0qr3riw8ipQiKDwWprdKKIH5SQbQVCv5FTe5_cGYvuaa24AccuWEyM9mdSbK_ze7OKsqlgmPWHVHlmjD0mmYJu65xuxBqVSuE26kQhkxm25--5kzctKZm7JmhQ_czs5bmu9V87cGB60r-J6rAg7jiKtl_iOzAKDCAhvjCESIMx7-KMfGLxKU4WcEvEW4TzpDjFYirI8EpcUtIMOAUie8h4Vk5yXKJx4kPR53wEp7zTDgnDTmEcUnAT8dTLnBQDYSQkvpWoua6xGVSmkERclpOGrWlZokwB2ksFJfWPcJNwouydH5q3SRMls61iVfMSVs8FQLrfE_tsFLFLKQmPgiX0a5voxbzJis3kIa6e6DiSKYJdst4BWZIFtSDEp9h8dngQ7G0X0oK6palehGvy4ysCPMSB4MTPCNVyliRvmV66rB-MKDqg6GhZPrTtBA5-brNfnsxWJrhcdBcUGgudNrfZygvJA8wkKUBLOR72hiaeZayDYZhZaBHfzX5vkatwGQCkFazi_nlDZY3aN7Jp5rZDOK_teyD-ZZT7tXrqGngOCxgRh3TMhwuUICbONv1oZ8Z6OZMzwy0M9zIeXcg18B94DOIsmBSk2cGagEOUa7vZpSzLPBQpocNnQtKDbm__MB3yVI2rOWVfXVEjJg8X9B9xD5VE1Bge66RQYGV48qxpPumun3ZE8pQa3ZEOZKu7u-MKGOJSLNzV72s7ll-1Tmp3Io_POotr8bf3sQrX-KFjWhhU42fbu98XY--b_ZePOmtL0XvF9Xox2K8uB59_thbXVY1dWdrqfd4K97ejJ6vxa-XorfPonc_1d7LtfjVJ7S2snFKqZT9SnFCS7Y20QSjXDOtQqMuGL4n68ICGA2vUqfKw2rYaNCazgSz6zTUG4IKQ9QbjmCcAvSuAt5uMB18eloZbs-2xVlFdeo1Bzo9YIoaFrPDkId6KGym4wxcy6mNKmdSBwb3-glsAtPCfSlGlXHpz6Bd79wJDrhFRpWL4OigVWsGmIQe_2_PBq25ALrak4HJLc4YP_cnK2PK0d1H57wy3J2bFxcAyHer4_LW-wWlmslX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A7%80%ED%95%98%EC%B2%A0%EC%97%AD%EC%82%AC%EB%82%B4+%EC%8A%B9%EA%B0%9D%EB%B3%B4%ED%96%89%ED%9D%90%EB%A6%84+%EB%B6%84%EC%84%9D%EB%AA%A8%ED%98%95+-+%EA%B5%90%ED%86%B5%EC%B9%B4%EB%93%9C%EC%9E%90%EB%A3%8C%EB%A5%BC+%ED%99%9C%EC%9A%A9%ED%95%98%EC%97%AC&rft.jtitle=%E9%9F%93%E5%9C%8BITS%E5%AD%B8%E6%9C%83+%EF%A5%81%E6%96%87%E8%AA%8C&rft.au=%EC%9D%B4%EB%AF%B8%EC%98%81&rft.au=%EC%8B%A0%EC%84%B1%EC%9D%BC&rft.au=%EA%B9%80%EB%B6%80%EC%9B%90&rft.au=Lee%2C+Mee+Young&rft.date=2018-12-31&rft.issn=1738-0774&rft.eissn=2384-1729&rft.volume=17&rft.issue=6&rft.spage=14&rft.epage=24&rft_id=info:doi/10.12815%2Fkits.2018.17.6.14&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JAKO201810760743015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738-0774&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738-0774&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738-0774&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