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자의 인식과 교수자의 의견을 반영한 대학의 컴퓨팅 사고 교육 개선에 대한 연구

최근 사회적으로 SW 역량의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SW 전공자뿐만 아니라 SW 비전공자에게도 SW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비전공자에게 SW 역량을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컴퓨팅 사고(computational thinking) 연구는 주로 학습자 관점에서 학습 효과와 문제점에 대해서만 진행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교수자 관점에서 컴퓨팅 사고 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C 대학 ‘컴퓨팅적 사고와 문제해결’ 교과목 수강자 1,395명에게...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양교육연구 Vol. 14; no. 1; pp. 167 - 191
Main Authors 박윤수(Park Youn-Soo), 이민정(Lee Minjeo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교양교육학회 29.02.2020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6-3212
2714-110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최근 사회적으로 SW 역량의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SW 전공자뿐만 아니라 SW 비전공자에게도 SW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비전공자에게 SW 역량을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컴퓨팅 사고(computational thinking) 연구는 주로 학습자 관점에서 학습 효과와 문제점에 대해서만 진행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교수자 관점에서 컴퓨팅 사고 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C 대학 ‘컴퓨팅적 사고와 문제해결’ 교과목 수강자 1,395명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과거 컴퓨팅 사고 경험이 있거나 프로그래밍 학습 경험이 있는 학습자는 그렇지 않은 학습자보다 SW 교육의 필요성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컴퓨팅 사고 개념 또는 프로그래밍 학습 경험이 있는 학습자는 전체의 39.93%로 나타났다. 학습자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자에게 컴퓨팅 사고 교육에 대한 인식과 문제점, 해결 방안에 대해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교수자는 컴퓨팅 사고 교육의 학습 내용이 전공과 연계성이 있어야 하며, 실용성을 갖춰야 한다고 응답했다. 또한, 학습자가 SW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 인식하고 있어야 하며, 학습자 수준을 고려한 교육 내용 구성이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본 논문에서는 교수자의 의견을 반영해서 컴퓨팅 사고 교육의 문제점 해결을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과거 프로그래밍 경험이 있는 학습자들을 위한 운영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둘째, 일상생활의 사례 혹은 학습자의 전공과 연계되는 내용을 발굴해서 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셋째, 컴퓨팅 사고 역량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마련해야 한다. Recently, as the importance of SW competency increases,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provide SW education not only for SW majors but also for SW non-majors. Computational thinking is an important concept to effectively educate SW non-majors. But, most of the relate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learning effects and problems from the learner's perspective.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computational thinking education from the instructor's point of view to identify the problems and propose improvement methods. We surveyed 1,395 students taking 'computation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courses at C University.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learners with previous learning experience of computational thinking concept or programming recognized the need for SW education more than those who did not. And the experienced learners were identified as 39.93% of the total respond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learner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to instructors about their perceptions, problems, and solutions for computational thinking education. As a result, the instructor replied that the contents of education should be linked with the learner's major and have practicality. In addition, the instructor replied that learners should be recognize of the necessity of SW education and that the composition of education contents considering the learner level was important. Reflecting the instructor's opinion, the solutions for solving the computational thinking education problem proposed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daily life examples should be used for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composed by considering the relevance of the learner's major. Second, an operation plan for learners with past programming experience should be prepared. Third, we need to develop a tool that can objectively measure the competencies of each learner's computational thinking. KCI Citation Count: 1
ISSN:1976-3212
2714-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