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개 지역 요양병원 간병인의 감염관리수행도 관련성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일개 지역 요양병원 간병인의 일반적 특성, 감염관리 특성, 감염예방지식과 감염관리환경을 확인하고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일개 지역 8개 요양병원의 간병인 197명이 며, 자료수집은 자가기입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2018년 8월에 진행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WIin 20.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al multiple stepwise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감염 예방지식은 감염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융복합연구 Vol. 18; no. 1; pp. 187 - 198
Main Authors 홍나경, 강경자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지털정책학회 01.01.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713-6434
2713-6442
DOI10.14400/JDC.2020.18.1.18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의 목적은 일개 지역 요양병원 간병인의 일반적 특성, 감염관리 특성, 감염예방지식과 감염관리환경을 확인하고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일개 지역 8개 요양병원의 간병인 197명이 며, 자료수집은 자가기입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2018년 8월에 진행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WIin 20.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al multiple stepwise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감염 예방지식은 감염관리수행도와 유의한 상관관계(p <.001)가 있었다. 요양병원 간병인의 감염관리수행도 영향요인은 70세 이상(t=2.50, p =.013), 8시간 근무(t=-2.62, p =.010), 1등급(t=2.48, p =.014), 감염예방지식(t=2.96 p =.003)이었으며, 제 변수들은 요양병원 간병인 감염관리수행도의 12.9%를 설명(F=6.70, p <.001)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요양병원 간병인 의 감염관리수행도 영향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추후 간병인의 감염관리수행도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요양병 원의 감염관리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008762210895
ISSN:2713-6434
2713-6442
DOI:10.14400/JDC.2020.18.1.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