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거주노인의 안구건조증 유병률과 관련요인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안구건조증, 수면장애, 우울의 유병률과 안구건조증 관련 요인을 파악 하여 노인의 안구건조, 수면장애, 우울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만 65세 이상 재가 노인으로, 일반 적 특성과 우울, 수면의 질, 안구건조증 측정도구가 포함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149명의 자료를 분 석한 결과 노인의 안구건조증 발생은 연령(χ²=4.50, p=.034), 직업유무(χ²=7.14, p=.008), 만성질환(χ²=6.59, p=.010), 약물(χ²=4.86, p=.027),...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8; no. 1; pp. 331 - 339
Main Authors 김수연, 김민지, 김유정, 김진섭, 김혜진, 문승주, 박서우, 박연수, 백승아, 원종순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국제문화기술진흥원 01.01.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0358
2384-036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안구건조증, 수면장애, 우울의 유병률과 안구건조증 관련 요인을 파악 하여 노인의 안구건조, 수면장애, 우울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만 65세 이상 재가 노인으로, 일반 적 특성과 우울, 수면의 질, 안구건조증 측정도구가 포함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149명의 자료를 분 석한 결과 노인의 안구건조증 발생은 연령(χ²=4.50, p=.034), 직업유무(χ²=7.14, p=.008), 만성질환(χ²=6.59, p=.010), 약물(χ²=4.86, p=.027), 눈수술 여부(χ²=6.02, p=.014), 수면장애(χ²=7.29, p=.007)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에서는 수면장애가 안구건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OR=2.45, 95% CI=1.17-5.13). 따라서, 노인의 안구건조증 관리 및 예방을 위해 수면장애를 유발하는 원인을 찾고 수면의 질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및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208148774844
ISSN:2384-0358
2384-0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