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수준의 매개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수준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간호학과 3,4학년 10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β=.54, p <.001), 진로결정수준(β=.23, p =.009)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수준이 부 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Z=2.49, p =.006)....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융복합연구 Vol. 18; no. 4; pp. 301 - 308
Main Authors 고영주, 김남석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지털정책학회 30.04.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713-6434
2713-6442
DOI10.14400/JDC.2020.18.4.30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수준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간호학과 3,4학년 10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β=.54, p <.001), 진로결정수준(β=.23, p =.009)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수준이 부 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Z=2.49, p =.006). 본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효과적인 진로준비행동을 위해 진 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을 향상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며, 이를 반영한 전략적 진로지도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013363976453
ISSN:2713-6434
2713-6442
DOI:10.14400/JDC.2020.18.4.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