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간의 상호작용적 비디오 게임이 노인의 인지정보처리에 미치는 영향 : P300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간의 상호작용적 비디오 게임이 노인의 인지정보처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할 피험자는 K시 D, J, K, W 노인복지관 노인 남ㆍ녀(65-70세) 250명 중 신체활동수준을 측정 하여 신체활동이 낮은 수준(낮음: 3200kcal 이하/1주)을 보인 60명이며, 피험자들 모두 사전 동의를 거쳐 자발적으로 본 실험에 참여하였다. 선정된 모든 피험자들은 난수표를 이용하여 무선 할당되어 (1) 상호작용적 비디오게임 집단(20 명) (2) 유산소운동(20명) (3) 통제집단(20명)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융복합연구 Vol. 18; no. 8; pp. 493 - 504
Main Authors 김성운, 김한철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지털정책학회 31.08.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713-6434
2713-6442
DOI10.14400/JDC.2020.18.8.49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간의 상호작용적 비디오 게임이 노인의 인지정보처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할 피험자는 K시 D, J, K, W 노인복지관 노인 남ㆍ녀(65-70세) 250명 중 신체활동수준을 측정 하여 신체활동이 낮은 수준(낮음: 3200kcal 이하/1주)을 보인 60명이며, 피험자들 모두 사전 동의를 거쳐 자발적으로 본 실험에 참여하였다. 선정된 모든 피험자들은 난수표를 이용하여 무선 할당되어 (1) 상호작용적 비디오게임 집단(20 명) (2) 유산소운동(20명) (3) 통제집단(20명)으로 배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3(집단)×2(사전사후)에 대해 반복 측정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했다. 종속변수는 인지기능 척도(주의집중력, 지연 기억력, 단기기억 능력, 즉각 기억력, 언어 유창성, 전두엽 운동기능), ERP 분석에서는 P300의 진폭과 잠재기, 반응시간과 정확률이다. 연구결과에서 인지기능과 ERP 분석에서 운동수행의 반응시간과 반응 정확률 및 진폭과 잠재기에서 상호작용적 비디오게임 집단과 유산소 운동집 단은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가 없었으나, 상호작용적 비디오게임 집단과 유산소 운동(걷기운동)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향 상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인지적 운동인 상호작용적 비디오게임과 같은 유산소운동의 꾸준한 참여는 노 인의 인지기능 쇠퇴방지에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여겨진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024852036100
ISSN:2713-6434
2713-6442
DOI:10.14400/JDC.2020.18.8.4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