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한 전면 원격 수업 시기의 대학 신입생의 자기효능감과 우울 및 분노가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에서는 2020년 1학기 코로나19 유행 시기에 입학과 동시에 전면 비대면 수업으로 대학에서의학습을 시작한 대학 신입생 688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과 부정적 정서(우울, 분노)와 학업지속의향의구조적 관계를 고찰하였다. 2020년 6월과 7월에 실시한 설문조사를 회귀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한결과 1)대학신입생의 자기효능감은 학업지속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은비대면 수업 상황에서도 학업지속의향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2) 분노는 학업지속의향에 직접적으로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우울은 학업지속의향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양교육연구 Vol. 14; no. 6; pp. 299 - 308
Main Authors 김효정(Kim, Hyojung), 오새내(OH, Saenae), 조명실(Cho, Myeongsil)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교양교육학회 31.12.2020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6-3212
2714-110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에서는 2020년 1학기 코로나19 유행 시기에 입학과 동시에 전면 비대면 수업으로 대학에서의학습을 시작한 대학 신입생 688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과 부정적 정서(우울, 분노)와 학업지속의향의구조적 관계를 고찰하였다. 2020년 6월과 7월에 실시한 설문조사를 회귀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한결과 1)대학신입생의 자기효능감은 학업지속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은비대면 수업 상황에서도 학업지속의향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2) 분노는 학업지속의향에 직접적으로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우울은 학업지속의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우울이 지속적일경우 분노에 영향을 미쳐서 학업지속의향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신입생의 학업중단 또는 중도이탈로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번 연구는 향후 학업 중단으로 이어질 수 있는 자연재해 상황이나 심리적인위기 상황에서 대학생들의 중도이탈에 대한 대책을 세우고 학업 지속을 돕기 위한 정책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In this study, 688 first year students from a four-year university in Daegu, all of whom had entered their school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studied the self-efficacy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negative emotions (depression, anger), as well as learning persistence.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survey conducted in June and July 2020, by applying the regression method we found that 1) the self-efficacy of first year student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learning persistence. Students with high self-efficiency tended to continue their studies even in involuntary remote classes, 2) anger had a direct negative effect on their learning persistence. Depression did not directly affect academic achievement, but we found that if the depression continued, it affected anger, which has the adverse effect of lowering academic achievement orientation, and which can lead to the suspension or even expulsion of new students. The study was used as a basis for policy decisions to help college students continue their studies in the face of natural disasters or psychological crises, all of which could lead to their suspension and/or expulsion and to come up with measures to cope with their withdrawal from university. KCI Citation Count: 13
ISSN:1976-3212
2714-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