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교통신호제어기 개발 연구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통신호제어기는 220V의 고전압을 신호등에 일대일로 직접 전달하는 스위치 제어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교통신호제어기와 신호등들을 연결하는 데 상 대적으로 많은 케이블이 소요되고, 또한 감전에 대한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도로교통공단에 서는 경찰청 교통신호제어기 표준규격서에 디지털 통신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교통신호제어 기의 규격을 추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표준규격서를 바탕으로 디지털 교통신호제어 기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디지털 교통신호제어기와 아날로그 교통신호제어기가 혼재되 어 있어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韓國ITS學會 論文誌 Vol. 18; no. 6; pp. 43 - 59
Main Authors 고세진, 이재관, 박상민, 고광용, 윤일수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ITS학회 31.12.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0774
2384-1729
DOI10.12815/kits.2019.18.6.4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통신호제어기는 220V의 고전압을 신호등에 일대일로 직접 전달하는 스위치 제어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교통신호제어기와 신호등들을 연결하는 데 상 대적으로 많은 케이블이 소요되고, 또한 감전에 대한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도로교통공단에 서는 경찰청 교통신호제어기 표준규격서에 디지털 통신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교통신호제어 기의 규격을 추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표준규격서를 바탕으로 디지털 교통신호제어 기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디지털 교통신호제어기와 아날로그 교통신호제어기가 혼재되 어 있어도 현재 운영 중인 신호제어시스템에서 운영이 가능함을 검증하였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909358630702
http://journal.kits.or.kr/
ISSN:1738-0774
2384-1729
DOI:10.12815/kits.2019.18.6.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