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션인솔이 요추 척추관협착증 환자의 유연성 및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요추 척추관협착증 환자에게 쿠션 인솔을 착용하게 하여서 요추의 유연성과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이다. 요추 척추관협착증이 있는 26명의 환자를 실험군 13명과 대조군 13명으로 무작위로 배치 하였다. 참가자들은 6 주간 하루 2 시간 동안 쿠션인솔을 착용하게 하였다. 실험군은 8mm, 대조군은 4mm 쿠션인솔을 맹검법으로 착용하도록 하였다. 실험군의 굴곡능력 검사에서 3.38 ± 3.12의 유의미한 증가(p<0.05)를 보였으나 다른 검사에 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p>0.0...
Saved in:
Published in | 디지털융복합연구 Vol. 17; no. 1; pp. 423 - 432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01.01.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713-6434 2713-6442 |
DOI | 10.14400/JDC.2019.17.1.423 |
Cover
Summary: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추 척추관협착증 환자에게 쿠션 인솔을 착용하게 하여서 요추의 유연성과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이다. 요추 척추관협착증이 있는 26명의 환자를 실험군 13명과 대조군 13명으로 무작위로 배치 하였다. 참가자들은 6 주간 하루 2 시간 동안 쿠션인솔을 착용하게 하였다. 실험군은 8mm, 대조군은 4mm 쿠션인솔을 맹검법으로 착용하도록 하였다. 실험군의 굴곡능력 검사에서 3.38 ± 3.12의 유의미한 증가(p<0.05)를 보였으나 다른 검사에 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p>0.05). 결론적으로 쿠션인솔은 요추 척추관협착증 치료를 위한 중재의 방법으로 적 합하지 않았다. 차후에 인솔의 높이나 재질을 다르게 하여 더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911338887948 |
ISSN: | 2713-6434 2713-6442 |
DOI: | 10.14400/JDC.2019.17.1.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