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다잉 교육의 문화산업 확산과 산업화 구축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웰에이징을 위한 웰다잉 교육과 웰다잉 문화확산, 산업화를 구축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2021년 2월 1일〜2021년 2월 22일까지 한국갤럽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조사 대상자의 웰다잉 교육경 험은 4.7%이었고 교육만족도는 2.88점으로 나타났다. 연령층별 웰다잉 교육 요구도 분석 결과 청년과 중년층은 호스피 스 교육 및 정보, 연명의료 관련 정보, 장례정보 순이었고, 장년층은 호스피스 교육 및 정보, 장례 정보, 죽음 관련 심리 적 극복 순이었으며, 노년층은 호스피스 교육 및 관련 정보, 장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융복합연구 Vol. 19; no. 5; pp. 321 - 331
Main Authors 장경희, 김문준, 김설희, 박아르마, 안상윤, 김광환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지털정책학회 31.05.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713-6434
2713-6442
DOI10.14400/JDC.2021.19.5.32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웰에이징을 위한 웰다잉 교육과 웰다잉 문화확산, 산업화를 구축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2021년 2월 1일〜2021년 2월 22일까지 한국갤럽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조사 대상자의 웰다잉 교육경 험은 4.7%이었고 교육만족도는 2.88점으로 나타났다. 연령층별 웰다잉 교육 요구도 분석 결과 청년과 중년층은 호스피 스 교육 및 정보, 연명의료 관련 정보, 장례정보 순이었고, 장년층은 호스피스 교육 및 정보, 장례 정보, 죽음 관련 심리 적 극복 순이었으며, 노년층은 호스피스 교육 및 관련 정보, 장례 정보, 연명의료 관련 정보 순서로 조사되었다. 웰다잉 문화 관련 산업화 인식은 삶과 죽음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는 웰다잉 카페, 입관체험, 장지 방문과 같은 웰다잉 체험, 문화와 예술 관련 여행상품 개발 순서로 조사되었다(p<0.05). 이와 같은 결과는 웰에이징을 위한 웰다잉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문화확산 및 산업화 구축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116739440247
ISSN:2713-6434
2713-6442
DOI:10.14400/JDC.2021.19.5.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