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상동맥중재술을 받은 남성의 건강행위 이행에 미치는 영향요인 : 경과기간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관상동맥중재술을 받은 남성의 건강행위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경과기간을 중심으로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일개 대학병원에서 관상동맥중재술을 받은 남성 249명이며, 2017년 9월 1일부터 2018년 4월 30일까지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자료는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 다. 연구결과 건강행위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조절 중 자율적 동기(β=.35, p <.001), 교육요구도 중 위험요 소(β=-.26, p <.001), 질병...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융복합연구 Vol. 19; no. 12; pp. 661 - 673
Main Authors 하행주, 서민정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지털정책학회 31.12.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713-6434
2713-6442
DOI10.14400/JDC.2021.19.12.66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관상동맥중재술을 받은 남성의 건강행위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경과기간을 중심으로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일개 대학병원에서 관상동맥중재술을 받은 남성 249명이며, 2017년 9월 1일부터 2018년 4월 30일까지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자료는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 다. 연구결과 건강행위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조절 중 자율적 동기(β=.35, p <.001), 교육요구도 중 위험요 소(β=-.26, p <.001), 질병의 경과기간(β=.19, p <.001), 결혼 여부(β=.15, p =.001), 최종 학력(β=-.12, p =.035)이며, 총 설명력은 29.1%였다. 관상동맥 중재술을 받은 남성 환자의 건강행위 이행을 높이기 위해서는 중증도가 높고 경과 시간이 1년 미만인 대상자의 자율적 동기를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106355524889
ISSN:2713-6434
2713-6442
DOI:10.14400/JDC.2021.19.12.6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