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합 시대의 임상실습 교육환경, 임상실습관련 무력감, 현장실습적응, 간호전문직관이 돌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간호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돌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G도 J대학 간호학과 173명을 자료수집 하였다. IBM SPSS WIN/25.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돌봄효능감은 임상실습 교육환경(r=.42, p <.001), 현장실습적응(r=.53, p <.001), 간호전문직관(r=.42, p <.001)과 상관관계, 임상실습관련 무력감(r=-46, p <.0...
Saved in:
Published in | 디지털융복합연구 Vol. 18; no. 12; pp. 469 - 479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31.12.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713-6434 2713-6442 |
DOI | 10.14400/JDC.2020.18.12.469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간호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돌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G도 J대학 간호학과 173명을 자료수집 하였다. IBM SPSS WIN/25.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돌봄효능감은 임상실습 교육환경(r=.42, p <.001), 현장실습적응(r=.53, p <.001), 간호전문직관(r=.42, p <.001)과 상관관계, 임상실습관련 무력감(r=-46, p <.001)과 역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돌봄 효능감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현장실습적응(β=.330, p <.001), 그 다음으로, 간호전문직관(β=.188, p =.005), 임 상실습 교육환경(β=.176, p =.015), 내성적(β=-.146, p =.018), 외향적(β=.134, p =.035) 순이었다. 설명력은 41.8%이었 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돌봄효능감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간호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돌봄효능감 프로그램 개발 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008540580191 |
ISSN: | 2713-6434 2713-6442 |
DOI: | 10.14400/JDC.2020.18.12.4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