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대학생의 공유리더십과 리질리언스의 관계에서 메타인지의 매개효과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공유리더십과 리질리언스와의 관계에서 메타인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 다. 연구대상은 S대학교 간호학과에서 2019년 1학기 6주간 팀기반학습에 참여한 138명의 학생이었다. 자료는 2019년 6월 10일부터 14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하였으며, SPSS WIN 25.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 다. 연구결과 공유리더십과 메타인지, 리질리언스는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유리더 십은 리질리언스에 영향을 미치며, 공유리더십과 리질리언스의 관계에서...
Saved in:
Published in | 디지털융복합연구 Vol. 18; no. 10; pp. 277 - 284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31.10.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713-6434 2713-6442 |
DOI | 10.14400/JDC.2020.18.10.277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공유리더십과 리질리언스와의 관계에서 메타인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 다. 연구대상은 S대학교 간호학과에서 2019년 1학기 6주간 팀기반학습에 참여한 138명의 학생이었다. 자료는 2019년 6월 10일부터 14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하였으며, SPSS WIN 25.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 다. 연구결과 공유리더십과 메타인지, 리질리언스는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유리더 십은 리질리언스에 영향을 미치며, 공유리더십과 리질리언스의 관계에서 메타인지가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지닌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에서 학생들의 리질리언스를 높이기 위해서는 공유리더십와 메타인지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수법과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031064817432 |
ISSN: | 2713-6434 2713-6442 |
DOI: | 10.14400/JDC.2020.18.10.2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