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이용시설의 서비스 질이 시설 재이용에 미치는 영향 : 시설 이미지, 이용자 충성도, 시설만족도 병렬 삼중매개 효과분석
본 연구는 사회복지 이용시설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사회복지 서비스 질과 시설 재이용 간 관계에서 시설 이미지, 이용자 충성도, 시설만족도 병렬 삼중매개 효과의 영향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사회복지시설 이용자 21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상관분석, 신뢰도 분석, 병렬 삼중매개 효과 검증은 Bootstrapping을 적용하였다. SPSS 23.0 for Windows와 Process macro를 이용 하였다. 즉, 본 연구는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경...
Saved in:
| Published in | 디지털융복합연구 Vol. 19; no. 5; pp. 127 - 133 |
|---|---|
| Main Author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31.05.2021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2713-6434 2713-6442 |
| DOI | 10.14400/JDC.2021.19.5.127 |
Cover
| Summary: | 본 연구는 사회복지 이용시설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사회복지 서비스 질과 시설 재이용 간 관계에서 시설 이미지, 이용자 충성도, 시설만족도 병렬 삼중매개 효과의 영향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사회복지시설 이용자 21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상관분석, 신뢰도 분석, 병렬 삼중매개 효과 검증은 Bootstrapping을 적용하였다. SPSS 23.0 for Windows와 Process macro를 이용 하였다. 즉, 본 연구는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경로 분석을 적용한 분석기법이다. 그 결과 첫 째, 변인 간에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둘째, 시설 이미지, 이용자 충성도, 시설만족도 는 병렬 삼중매개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팬데믹 상황에서 사회복지시설 대응방안에 다변량을 활용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재난 상황에서 사회복지 이용자 중심의 대응 매뉴얼과 대처전략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끝으 로, 향후 다른 변수들을 확대한 병렬 삼중매개 효과 연구의 필요성과 제언을 하였다. |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116739469263 |
| ISSN: | 2713-6434 2713-6442 |
| DOI: | 10.14400/JDC.2021.19.5.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