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공동체의식과 기부기관신뢰가 기부동기와 기부태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 청소년들의 공동체의식과 기부기관신뢰가 기부동기와 기부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충청남도 S시, D시, T군 및 H군 4개 지역에서 청소년 9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T-test, ANOVA, 상관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부태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높았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기부태도는 공동체의식, 기부기관신뢰 및 기부동기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
Saved in:
| Published in | 디지털융복합연구 Vol. 15; no. 4; pp. 83 - 89 |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30.04.2017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2713-6434 2713-6442 |
| DOI | 10.14400/JDC.2017.15.4.83 |
Cover
| Summary: |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 청소년들의 공동체의식과 기부기관신뢰가 기부동기와 기부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충청남도 S시, D시, T군 및 H군 4개 지역에서 청소년 9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T-test, ANOVA, 상관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부태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높았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기부태도는 공동체의식, 기부기관신뢰 및 기부동기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공동체의식과 기부기관신뢰 모두 기부동기를 완전 매개로 하여 기부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기부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715853767678 G704-002010.2017.15.4.048 |
| ISSN: | 2713-6434 2713-6442 |
| DOI: | 10.14400/JDC.2017.15.4.8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