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전문학교 청소년의 직업훈련만족도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직업훈련만족도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태도성숙에 효과가 있는 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4개의 직업전문학교에서 편의표집하여 설문조사에 참여한 386명이며, 통계 처리에는 SPSS 21.0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훈련만족도와 진로태도성숙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직업훈련만족도는 진로태도성숙에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간의 관계를 살 펴본 결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태도성숙에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청소년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융복합연구 Vol. 19; no. 5; pp. 15 - 21
Main Author 조창호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지털정책학회 31.05.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713-6434
2713-6442
DOI10.14400/JDC.2021.19.5.01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직업훈련만족도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태도성숙에 효과가 있는 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4개의 직업전문학교에서 편의표집하여 설문조사에 참여한 386명이며, 통계 처리에는 SPSS 21.0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훈련만족도와 진로태도성숙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직업훈련만족도는 진로태도성숙에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간의 관계를 살 펴본 결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태도성숙에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청소년의 직업훈련만족도와 진로태도성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부분매개의 효과가 있 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들이 직업전문학교에서 직업훈련만족도가 높아지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아 지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아지면 진로태도성숙도 역시 향상되어 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116739425239
ISSN:2713-6434
2713-6442
DOI:10.14400/JDC.2021.19.5.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