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래중심 음악치료활동이 다문화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효과
이 연구는 노래중심 음악치료활동이 다문화 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었다. 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E외국인 근로자센터의 다문화 결혼이주여성들로 선정되었다. 실험은 2015년 3월부터 주 1회, 매 회기 약 50분 길이로 총 12회기에 걸쳐 시행되었고, 총 33명의 다문화 결혼 이주여성 중 실험집단 18명은 노래중심 음악치료활동, 15명의 통제집단은 어떠한 처치도 하지 않았다 실험을 실시하기 일주일 전(사전)과 실험 종료 일주일후(사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척도와 사회적...
Saved in:
| Published in |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 18; no. 1; pp. 61 - 85 |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음악치료학회
25.04.2016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598-916X 2671-6070 |
| DOI | 10.21330/kjmt.2016.18.1.61 |
Cover
| Summary: | 이 연구는 노래중심 음악치료활동이 다문화 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었다. 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E외국인 근로자센터의 다문화 결혼이주여성들로 선정되었다. 실험은 2015년 3월부터 주 1회, 매 회기 약 50분 길이로 총 12회기에 걸쳐 시행되었고, 총 33명의 다문화 결혼 이주여성 중 실험집단 18명은 노래중심 음악치료활동, 15명의 통제집단은 어떠한 처치도 하지 않았다 실험을 실시하기 일주일 전(사전)과 실험 종료 일주일후(사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척도와 사회적 상호작용 척도의 점수를 각각 수집한 결과, 첫째, 실험집단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점수는 통제집단 점수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 하위 6개 요인 중 2개 요인(차별, 향수 및 부적응)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의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노래중심 음악치료 활동이 다문화 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임을 알 수 있었다. |
|---|---|
| Bibliography: | G704-002207.2016.18.1.005 |
| ISSN: | 1598-916X 2671-6070 |
| DOI: | 10.21330/kjmt.2016.18.1.6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