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차 혼합 환경의 교통흐름 및 지속 가능성 평가를 위한 거시적 시뮬레이션 연구

본 연구는 혼합 교통 환경에서 자율주행차(AV)와 사람이 운전하는 차량(HDV)이 교통 흐름 과 환경 지속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통합 거시적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화성시 사례 연구를 통해 다양한 AV 보급률, AV의 자동화 수준, 차량-인프라 간 통 신(V2I) 시나리오를 설정했다. 그 결과, AV 도입과 V2I 구현은 차량주행거리 및 차량주행시간 과 같은 교통흐름 지표에는 제한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배출량을 크게 줄였다. 특히, AV 중심 환경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HDV중심 환경에 비해 최대 50%...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ITS학회 논문지, 23(6) Vol. 23; no. 6; pp. 95 - 109
Main Authors 정재은, 김인희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ITS학회 30.12.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0774
2384-1729
DOI10.12815/kits.2024.23.6.9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혼합 교통 환경에서 자율주행차(AV)와 사람이 운전하는 차량(HDV)이 교통 흐름 과 환경 지속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통합 거시적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화성시 사례 연구를 통해 다양한 AV 보급률, AV의 자동화 수준, 차량-인프라 간 통 신(V2I) 시나리오를 설정했다. 그 결과, AV 도입과 V2I 구현은 차량주행거리 및 차량주행시간 과 같은 교통흐름 지표에는 제한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배출량을 크게 줄였다. 특히, AV 중심 환경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HDV중심 환경에 비해 최대 50%까지 감소했으며, 미세먼지도 비슷한 감소율을 보였다. 본 연구는 AV 보급과 V2I 인프라의 증가가 지속 가능성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정량적으로 제시했으며, 정책결정자와 도시계획가에게 실질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제안된 프레임워크는 다양한 정책 시나리오를 분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며, 동 적 교통패턴 및 실제 데이터로 확장하여 보다 발전된 정책 설계를 할 수 있다.
Bibliography:http://journal.kits.or.kr/
ISSN:1738-0774
2384-1729
DOI:10.12815/kits.2024.23.6.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