魯迅の「示衆」と表現主義 ― 感覚と表現の変容をめぐって
본 논문에서는 우선 루쉰이 일본어를 통해 표현주의를 접하고 번역에 돌입한 사실을 고찰하고, 루쉰과 표현주의의 관련성에 주목하여 루쉰의 단편소설 《시중(示衆)》을 재독해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주요 목적은 표현주의가 루쉰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하여 탐구하는 것이 아니라 루쉰이 《시중(示衆)》을 창작하던 시기의 문예적 배경과 루쉰 본인의 “표현”의식에 대하여 정리하는 것이다. “세계문학”이라는 키워드에 입각하여 표현주의의 방법 및 문학과의 친원관계를 논의하고자 한다. 근대 리얼리즘소설을 참조물로 《시중(示衆)》에 대하여 고찰하...
Saved in:
| Published in | 日本學硏究, 56(0) Vol. 56; pp. 103 - 127 |
|---|---|
| Main Author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Japanese |
| Published |
일본연구소
15.01.2019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598-737X 2465-8448 |
Cover
| Abstract | 본 논문에서는 우선 루쉰이 일본어를 통해 표현주의를 접하고 번역에 돌입한 사실을 고찰하고, 루쉰과 표현주의의 관련성에 주목하여 루쉰의 단편소설 《시중(示衆)》을 재독해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주요 목적은 표현주의가 루쉰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하여 탐구하는 것이 아니라 루쉰이 《시중(示衆)》을 창작하던 시기의 문예적 배경과 루쉰 본인의 “표현”의식에 대하여 정리하는 것이다. “세계문학”이라는 키워드에 입각하여 표현주의의 방법 및 문학과의 친원관계를 논의하고자 한다. 근대 리얼리즘소설을 참조물로 《시중(示衆)》에 대하여 고찰하면 아래와 같은 사실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원근관찰법을 바탕으로 “인과율(인과의 법칙)”을 기초로 한 근대소설의 구조는 더이상 존재하지 않고 우연성 법칙과 주관적인 표현방식이 작품의 양대 지주로 되었다는 사실이다. 시각을 둘러싸고 스토리가 전개되는 《시중(示衆)》에서, 리얼리즘이 요구하는 인과율 및 이를 바탕으로 나타나는 “현실성” 요소는 아주 적다. 그러므로 이 작품은 우연성과 주관적인 시각의 관찰로 이루어진 작품이라고도 할 수 있다. 《시중(示衆)》은 리얼리즘의 “재현”을 버리고 현실에 과도한 의미를 부여하는 리얼리즘을 뛰어넘으려는 시도를 하였다. 시각(視覚)은 《시중(示衆)》에서 주제를 제시하는 수단으로 사용된 것이 아니라 시각 자체가 작품의 주제인 것이다. 루쉰은 현실에 대한 주관적인 관찰을 바탕으로 이것을 변형시켜 알맞게 “표현”(“재현”과 대응된 개념)한 것이다. 《시중(示衆)》의 모더니즘 문체를 지탱하는 것은 감각의 진화이다. 감각의 진화는 새로운 인식론의 결과이고 이는 새로운 문체의 “표현”이 작품에서 해결되어야 할 필요를 제시하였다. 《시중(示衆)》에서는 환유법, 직유법, 의인법 등 수법이 대량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창작수단은 주관적인 표현으로 감각을 통해 관찰되는 대상을 표현하고 있다. |
|---|---|
| AbstractList | 본 논문에서는 우선 루쉰이 일본어를 통해 표현주의를 접하고 번역에 돌입한 사실을 고찰하고, 루쉰과 표현주의의 관련성에 주목하여 루쉰의 단편소설 《시중(示衆)》을 재독해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주요 목적은 표현주의가 루쉰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하여 탐구하는 것이 아니라 루쉰이 《시중(示衆)》을 창작하던 시기의 문예적 배경과 루쉰 본인의 “표현”의식에 대하여 정리하는 것이다. “세계문학”이라는 키워드에 입각하여 표현주의의 방법 및 문학과의 친원관계를 논의하고자 한다. 근대 리얼리즘소설을 참조물로 《시중(示衆)》에 대하여 고찰하면 아래와 같은 사실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원근관찰법을 바탕으로 “인과율(인과의 법칙)”을 기초로 한 근대소설의 구조는 더이상 존재하지 않고 우연성 법칙과 주관적인 표현방식이 작품의 양대 지주로 되었다는 사실이다. 시각을 둘러싸고 스토리가 전개되는 《시중(示衆)》에서, 리얼리즘이 요구하는 인과율 및 이를 바탕으로 나타나는 “현실성” 요소는 아주 적다. 그러므로 이 작품은 우연성과 주관적인 시각의 관찰로 이루어진 작품이라고도 할 수 있다. 《시중(示衆)》은 리얼리즘의 “재현”을 버리고 현실에 과도한 의미를 부여하는 리얼리즘을 뛰어넘으려는 시도를 하였다. 시각(視覚)은 《시중(示衆)》에서 주제를 제시하는 수단으로 사용된 것이 아니라 시각 자체가 작품의 주제인 것이다. 루쉰은 현실에 대한 주관적인 관찰을 바탕으로 이것을 변형시켜 알맞게 “표현”(“재현”과 대응된 개념)한 것이다. 《시중(示衆)》의 모더니즘 문체를 지탱하는 것은 감각의 진화이다. 감각의 진화는 새로운 인식론의 결과이고 이는 새로운 문체의 “표현”이 작품에서 해결되어야 할 필요를 제시하였다. 《시중(示衆)》에서는 환유법, 직유법, 의인법 등 수법이 대량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창작수단은 주관적인 표현으로 감각을 통해 관찰되는 대상을 표현하고 있다. 本稿では、魯迅が日本語を経由して表現主義に接し、翻訳した事実についての考察から出発し、表現主義との接点に着目しながら魯迅の短編小説「示衆」を読み直してみたい。論考は影響関係の追究ではなく、「示衆」を創作した魯迅を取り巻く芸術的な背景や魯迅自身の表現意識を検討して、「世界文学」という視点から20世紀芸術の大きな流れである「表現主義」の方法との類縁性を探ってみたい。 近代写実小説を参照系にしながら「示衆」を考察すると、遠近法に基づいた観察、「因果律」で構成された近代小説の構造は明らかに崩壊していることは明らかだ。「偶然性」の法則と主観的な表現は作品を支える二本の柱となっている。 視覚を中心に展開された「示衆」には、リアリズムが求めている因果律によって成立した「現実性」の要素は薄く、偶然性、主観的な観察によって構成された作品だと言える。「示衆」は現実主義風の「再現」を捨てて、現実に過剰な意味を付与していたリアリズムを超克する試みだと考えられる。視覚は主題を提示する手段ではなく、視覚そのものがテーマと化し、現実を主観的に把握し、変形させながら「表現」を目指す創作である。 モダニズムの文体の成立を支えるのは感覚の変容に起因している。感覚の変容は新しい認識論の結果であり、それを新しい文体で「表現」するのはこの作品に課せられた課題であった。「示衆」において多用された換喩、直喩、擬人法などを考察すれば、それは感覚的に観察した対象を主観的に表現しようとする創作手法でもあることは、もはや明らかだろう。 This article started with a reinterpretation of Public Exhibition, Lu Xun’s short story with a focus on the writer’s relevance to expressionism through a probe into his initial encounter with this thought and his engagement in its translation. It aims mainly to explore the expressionist approach and its affinity with liter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world literature through an analysis of the setting in which Lu Xun wrote the story and the writer’s own consciousness of expression. An exploration of Public Exhibition on the basis of the parameter of modern realist novels (realist novels) expressly reveals that contingency and subjective expressionism act as two backbones of the story in lieu of perspective and the modern novel structure based on the law of causality. The story, which is developed by vision, is framed through contingency and subjective observations with a negligible element of causality and causality‐based realism. It has made an attempt to transcend the overly‐meaning‐laden modernism by renunciation of realistic reproduction. Vision reigns as the motif rather than a means of thematic reflection. The writer metamorphosed it based on subjective observation and made its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reproduction). Perceptual evolution, the prop of Public Exhibition as a modernistic genre, is the end product of novel epistemology and a new subject to be dealt with for the representation of the new genre. The story abounds in such figures of speech as metonymy, simile, personification etc., which the writer used as self‐expression of the objects under observation. KCI Citation Count: 0 |
| Author | 추파 |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추파 |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32896$$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 BookMark | eNo9jLtKw1AAhg9SwVj7CtLVIXCSc81YipdCQdEObockPZHQmkji4maKCk6K4OIi1VLqYF290PouHmvi1FcwWHH6hv_7_kVQCMJAzgHNxJToHGNeAJpBLK4zxHYXQCmOfQeaiCFOmaGBre_Hp-z9VCXD6egu7b1m3bPp6F4lg6w7SC_Gn89v6fih_HF8Xf46uc36N_9LXkx655Phi-pcqU6ikkuV5F1_Ccx7djuWpT8Wwc7aaqO6odc312vVSl2XhBHdMSlHjBqOQbgkFDPXdSxEm9yGElsuxZBQbjmQSs-UkmMOOZWu5dgQmk3IUBGszF6DyBMt1xeh7f9yLxStSFS2GzWRf2CTkdxdnrnSjg59ty3FQeTv29GRQJhwiNEPZ_dzuQ |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 DBID | M1Z ACYCR |
| DatabaseName | 학술교육원 E-Article Korean Citation Index |
| DatabaseTitleList |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 DocumentTitleAlternate | Public Exhibition and Expressionism ─A Study of Metamorphosis and Expression |
| EISSN | 2465-8448 |
| EndPage | 127 |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4054275 345804 |
| GroupedDBID | M1Z M~E ACYCR |
| ID | FETCH-LOGICAL-e575-b2683761b158e5647ccb936d8a0e49c6405689b06ef2ee848086ec9ba002d073 |
| ISSN | 1598-737X |
| IngestDate | Tue Nov 21 21:41:35 EST 2023 Fri Jan 24 04:13:50 EST 2025 |
| IsPeerReviewed | false |
| IsScholarly | false |
| Keywords | Expressionism Pubic Exhibition 示衆 Expression 魯迅 視覚 Vision 表現 Lu Xun 表現主義 |
| Language | Japanese |
| LinkModel | OpenURL |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e575-b2683761b158e5647ccb936d8a0e49c6405689b06ef2ee848086ec9ba002d073 |
| PageCount | 25 |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4054275 earticle_primary_345804 |
| PublicationCentury | 2000 |
| PublicationDate | 20190115 |
| PublicationDateYYYYMMDD | 2019-01-15 |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1 year: 2019 text: 20190115 day: 15 |
| PublicationDecade | 2010 |
| PublicationTitle | 日本學硏究, 56(0) |
| PublicationYear | 2019 |
| Publisher | 일본연구소 |
| Publisher_xml | – name: 일본연구소 |
| SSID | ssib023738671 ssib036466764 ssib004697698 ssib030194371 ssib044739091 ssib025839342 |
| Score | 1.773174 |
| Snippet | 본 논문에서는 우선 루쉰이 일본어를 통해 표현주의를 접하고 번역에 돌입한 사실을 고찰하고, 루쉰과 표현주의의 관련성에 주목하여 루쉰의 단편소설 《시중(示衆)》을... 本稿では、魯迅が日本語を経由して表現主義に接し、翻訳した事実についての考察から出発し、表現主義との接点に着目しながら魯迅の短編小説「示衆」を読み直してみたい。論考は... |
| SourceID | nrf earticle |
| SourceType | Open Website Publisher |
| StartPage | 103 |
| SubjectTerms | 일본어와문학 |
| TableOfContents | <要旨>
Ⅰ. はじめに
Ⅱ. 「示衆」と表現主義
1. 異色な短編小説「示衆」
2. 魯迅と表現主義
3. 表現主義の特徴
Ⅲ. 「示衆」の表現法
1. 視覚性の表現法
2. 主観的なレンズ
Ⅳ. 新感覚と新文体
1. 感覚の変容
2. レトリックの表現法
V. おわりに
参考文献
<要旨> |
| Title | 魯迅の「示衆」と表現主義 ― 感覚と表現の変容をめぐって |
| URI | https://www.earticle.net/Article/A345804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32896 |
| Volume | 56 |
| hasFullText | 1 |
| inHoldings | 1 |
| isFullTextHit | |
| isPrint | |
| ispartofPNX | 日本學硏究, 2019, 56(0), 56, pp.103-127 |
| journalDatabaseRights |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465-8448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39091 issn: 1598-737X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5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9RAFA9rT15E8at-sYjvJJEkM5nMHJPdWapQEaywt5CkE9HCVpYtiAdxiwqeFMGLF6mWUg_Wqx-0_i_G2vXUf8E3-WoQFS2E5O289yaPvMybN9mZ3xjGBRXRyMU8GFuaTUyaEoyDjCuTcEdhB8oTkW_3NnuVzdygV_puv9W625i1tDSKLyX3fruuZD9exTL0q14l-x-erSvFAqTRv3hGD-P5n3wMUoDfBb8HkkPQA-6CJJgbgi9B9iBAlgPSA59C4GsZ3wbOKhaphHnJ0oQHHLmojipYZ6BL8KcvLlbTIlykGHAKIr-tz0D4f62ptsjVhnCRExICkbMcEE5JoFghLKxKq7aRNbNokB0QXQg6IAMIiLZUdtEyECJnoclYgw8B3qj-Cqw5ARpLtSzv4NH84qEXWdlmseazCtIaA5V4_WYUd5th2LZIo0e3C_SBX3C1CXW5BpI9QGy988Xsfdn4txeTtL1hqKPRnxowgBgTBW3ACBJG9UzhOq5R6hFhiQKqtzRV5zrle4JZzGCYNrKYucPGoXL40fYLmSNG63Z01Lj24937yZdH2Xhjd_P1zuqnycrj3c032Xh9srK-83Tr24fPO1tv218fvGh_f_hqsvay5qDG9uqT7Y2P2fLzbHmcjZ9lY9RbO2Zc78m5zoxZ7rRhKkzXzdhhHDsaO8bGqVxGvSSJBWHzPLIUFQnDpJ5xEVtMpY5SnHIcB6tExBF2p_PYRxw3pgaLA3XSaDsMW7uyE5baEU0sIpRjK6GSWFmpa6Vi2jhRPYbwTgGnEhaOmDbO41MJF5JboUY819ebi-HCMMRx3eUQLaCO5576o_pp4-Deq3LGmBoNl9RZTBdH8bnctz8Bi6RZSA |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9%AD%AF%E8%BF%85%E3%81%AE%EF%BD%A2%E7%A4%BA%E8%A1%86%EF%BD%A3%E3%81%A8%E8%A1%A8%E7%8F%BE%E4%B8%BB%E7%BE%A9+%E2%80%95+%E6%84%9F%E8%A6%9A%E3%81%A8%E8%A1%A8%E7%8F%BE%E3%81%AE%E5%A4%89%E5%AE%B9%E3%82%92%E3%82%81%E3%81%90%E3%81%A3%E3%81%A6&rft.jtitle=%EC%9D%BC%EB%B3%B8%ED%95%99%EC%97%B0%EA%B5%AC&rft.au=%EC%B6%94%ED%8C%8C&rft.date=2019-01-15&rft.issn=1598-737X&rft.volume=56&rft.spage=103&rft.epage=127&rft.externalDocID=345804 |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737X&client=summon |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737X&client=summon |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737X&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