朝鮮時代 간행된 小學 諺解本 연구

소학은 아동용 수신서로서 1187年 朱熹와 劉淸之에 의해 편찬된 것으로 麗末에 전래되어 조선시대에 널리 배포, 교육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조선시대에 印刊된 소학 언해본의 전체 판본을 개관하고 시기별, 간행처별, 계통별 분석을 통해 소학의 간행 양상과 추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책판목록에 수록되어 있는 소학 언해본 판본은 서명을 기준으로 모두 5종이 나타났고, 전국 29곳에서 책판을 소장하고 있었다. 현존하는 판본은 서명을 기준으로 총 4종, 판본수로는 모두 15종이 조사되었다. 이를 나열하면 『飜譯小學』 『小學諺解』, 『小學閨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서지학연구, 0(44) pp. 409 - 448
Main Author 신정엽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서지학회 31.12.200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5246
2671-8758
DOI10.17258/jib.2009..44.40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소학은 아동용 수신서로서 1187年 朱熹와 劉淸之에 의해 편찬된 것으로 麗末에 전래되어 조선시대에 널리 배포, 교육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조선시대에 印刊된 소학 언해본의 전체 판본을 개관하고 시기별, 간행처별, 계통별 분석을 통해 소학의 간행 양상과 추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책판목록에 수록되어 있는 소학 언해본 판본은 서명을 기준으로 모두 5종이 나타났고, 전국 29곳에서 책판을 소장하고 있었다. 현존하는 판본은 서명을 기준으로 총 4종, 판본수로는 모두 15종이 조사되었다. 이를 나열하면 『飜譯小學』 『小學諺解』, 『小學閨範』, 『小學諸家集註』 등이다. 시기적으로 가장 빠른 판본은 16世紀에 간행된 『飜譯小學』이다. 한편, 현존하는 소학 언해본 가운데 금속활자본이 2종, 목판본은 모두 13종으로 나타났다. 간행처별로는 중앙의 校書館 등에서 주로 활자를 사용하여 책을 인행하였고 지방에서는 중앙에서 내려준 활자본을 번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현존본에 의하면 瀛州, 咸營 등지에서 소학의 印刊이 이루어졌고 19世紀末~20世紀初에 세워진 新舊書林, 滙東書館, 光東書局 등 여러 書鋪에서는 전해져 오는 金屬活字本들을 飜刻하거나 行字數를 바꾸어 木板本으로 다양하게 간행하였다. 『Sohak(小學)』 , the book for teaching ethics to children, compiled by Ju Hui(朱熹) and Riu Cheongji(劉淸之) in 1187, was imported during the late Goreo Dynasty(高麗) and widely distributed and taught in the Joseon Dynasty(朝鮮). This study intends to outline the entire editions of Korean annotations of Sohak published in the Joseon Dynasty, and examine the trend of publishing those Korean annotations by analyzing the periods and places of their publication and systems. Five titles of the Korean annotations of Sohak were included in Chaekpanmokrok(冊板目錄), and woodblocks of these books were located in 29 places in the country. The presently-existing editions were 4 titles, including 『Beonyeok Sohak(飜譯小學)』, 『Sohak Eonhae(小學諺解)』, 『Sohak Gyubeom(小學閨範)』, and 『Sohak Jegajipju(小學諸家集註)』 and a total of 15 titles were examined. The earliest edition was 『Beonyeok Sohak』 published in the 16 century. Of the currently existing editions, two titles were prints with metal movable types and 13 titles were woodblock prints. An analysis of the places of publication shows that some were printed with movable types by Gyoseogwan(校書館), etc. and local publications were mostly the reproductions of movable type prints distribu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ccording to the existing editions, Sohak was published in such places as Yeongju(瀛州) and Hamyeong(咸營). Also, many private bookstores, including Singuseorim(新舊書林), Hoidongseoguan(滙東書館), Gwangdongseoguk(光東書局), etc., printed various woodblock editions of Sohak by reproducing woodblocks from metal movable type prints previously published or changing the number of lines and letters from the original prints. KCI Citation Count: 18
Bibliography:G704-000060.2009..44.003
ISSN:1225-5246
2671-8758
DOI:10.17258/jib.2009..44.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