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개정에 따른 재난안전분야 종사자 교육훈련 설계 및 운영 발전 방안 연구

연구는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개정에 따른 재난안전 분야 종사자의 재난안전 교육훈련을 위해 체계적인 교육과정의 설계 및 운영에 대한 발전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개정으로 재난안전분야 종사자의 재난교육 의무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기존의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의 발전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재난안전의 24개 기능과 재난관리의 13개 역량 항목을 기초로 재난안전 분야 종사자를 재난관리자, 재난실무자, 재난지휘자로 구분하여 역량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교육수요를 파악한 후, 선진재난관리 요소와 과정의 브랜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9(4) pp. 484 - 492
Main Authors 남상훈(CDI, 박해정(NEMA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재난정보학회 30.12.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6-2208
2671-528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는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개정에 따른 재난안전 분야 종사자의 재난안전 교육훈련을 위해 체계적인 교육과정의 설계 및 운영에 대한 발전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개정으로 재난안전분야 종사자의 재난교육 의무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기존의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의 발전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재난안전의 24개 기능과 재난관리의 13개 역량 항목을 기초로 재난안전 분야 종사자를 재난관리자, 재난실무자, 재난지휘자로 구분하여 역량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교육수요를 파악한 후, 선진재난관리 요소와 과정의 브랜드화를 고려하여 재난안전분야의 교육훈련 과정 설계 안을 도출 하였다. 기본법 개정에 따라 교육기관의 교육과정의 전문화와 함께 교육 효과와 교육 수요자의 요구 사항을 고려, 참여형 교육훈련 기법을 반영한 교육 운영 형태를 포함한 발전 방안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development plan for systematic design and management of disaster and safety education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revision of Framework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s and safety. The curriculum is intended for current disaster management professionals. Prior to analysis, disaster and safety professional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disaster practitioner, disaster manager, and disaster higher manager. And based on 24 disaster safety functions and 13 disaster management competence items, priorities of their task ability were derived. Considering practical effect of disaster and safety education, the course curriculum is divided to target groups of disaster practitioner, disaster manager, and disaster higher manager. Disaster management education curriculum and its design are based on the results of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contents development planning to reflect the elements of advanced disaster management education and to consider brand making of the curriculum and operation pattern. KCI Citation Count: 3
Bibliography:G704-SER000002312.2013.9.4.006
www.kosdi.or.kr
ISSN:1976-2208
2671-5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