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수소 인프라 설비의 안전관리 시스템 평가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 수소 인프라 설비의 안전관리 시스템을 평가하고, 해외 선진국의 안전관리 체 계와 비교하여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문헌 조사, 선진국의 관련 법령·사례 비 교, 정량적 위험성 평가(QRA) 및 정성적 평가(HAZOP, LOPA),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의 기술 비교 분 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수소 안전관리 체계는 QRA 및 정성적 평가 적용범위의 한정성, 실시 간 모니터링 시스템의 도입 미비, 국제 표준(KGS 코드 등)과의 불일치라는 문제점을 가진다. 결론: 본 연구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Vol. 21; no. 2; pp. 446 - 454
Main Author 최성수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30.06.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6-2208
2671-528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 수소 인프라 설비의 안전관리 시스템을 평가하고, 해외 선진국의 안전관리 체 계와 비교하여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문헌 조사, 선진국의 관련 법령·사례 비 교, 정량적 위험성 평가(QRA) 및 정성적 평가(HAZOP, LOPA),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의 기술 비교 분 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수소 안전관리 체계는 QRA 및 정성적 평가 적용범위의 한정성, 실시 간 모니터링 시스템의 도입 미비, 국제 표준(KGS 코드 등)과의 불일치라는 문제점을 가진다. 결론: 본 연구는 향후 국내 수소 산업의 안전성 향상과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국제 기 준에 부합하는 안전관리 체계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519257603039
ISSN:1976-2208
2671-5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