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모바일러닝에서 자기효능감, 지각된유용성, 상사 및 동료지원, 만족도, 전이동기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본 연구는 기업 모바일러닝에서 자기효능감, 지각된유용성, 상사 및 동료의 지원, 만족도, 전이동기 간의 인과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기업 A사에서 실시한 모바일러닝 학습자 302명을 대상으로 온 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자기효능감, 지각된유용성, 상사 및 동료의 지원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 을 미쳤다. 둘째, 상사 및 동료의 지원, 만족도가 전이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만족도가 자기효능감과 지각 된유용성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고, 상사 및 동료의 지원과 전이동기 간...
Saved in:
Published i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Vol. 16; no. 4; pp. 189 - 196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31.08.201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89-0238 2289-0246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기업 모바일러닝에서 자기효능감, 지각된유용성, 상사 및 동료의 지원, 만족도, 전이동기 간의 인과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기업 A사에서 실시한 모바일러닝 학습자 302명을 대상으로 온 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자기효능감, 지각된유용성, 상사 및 동료의 지원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 을 미쳤다. 둘째, 상사 및 동료의 지원, 만족도가 전이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만족도가 자기효능감과 지각 된유용성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고, 상사 및 동료의 지원과 전이동기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함을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기업 모바일러닝에서 전이동기 수준을 높이기 위해 조직 내 상사 및 동료의 적극적인 지원이 가능한 조직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으며,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모바일 정보수용기술에 대한 유용성을 높게 지각하도록 전략을 수립하여 학습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켜야 함을 시사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627038924428 |
ISSN: | 2289-0238 2289-0246 |